초록 열기/닫기 버튼

21세기 미래 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 중 하나로 소통역량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미래 핵심역량으로서소통역량이 정확히 무엇이고 세부 역량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통합적인 견해가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핵심역량에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미래 핵심역량으로서 소통역량의 개념과 범주 및 하위요소를 종합적으로 정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1세기 이후 최근까지 국내외에서 미래 역량에 대한 담론과 체계를 제시하고 있는 영향력 있는 기관들의대표적 연구 문헌 16개에 담긴 소통역량과 관련된 내용에 대하여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소통역량의범주를 3개의 영역(도구적 소통, 세계시민적 소통, 혁신적 소통)과 11개의 세부 역량(언어 문해, 정보 문해, 기술문해, 타자 이해와 공감, 갈등 조정과 숙의, 융합적 소통, 협럭적 소통)으로 통합하여 재구조화하였다. 또한 소통역량개념을 “다양한 매체를 통해 세상과 심층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고, 인류 공동체로서 상호 이해하고 의견을 조율하여공존하며, 공유 가치와 지식을 창조하고 협력적으로 공동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로 재정립하였다. 본 연구는미래 핵심역량으로서 소통역량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규명하고 세부 역량을 밝혀,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소통 교육을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Communication competency is identified as a crucial skill for future professionals in the 21st century. However, there is no unified understanding of what this competency entails as a key future skill or what specific competencies it includ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thoroughly define the concept, category, and sub-elements of communication competency as a crucial future skill through a review of literature on future core competencies. I conducted a qualitative meta-analysis of content related to communication competency found in 16 key research papers from influential organizations that have proposed discourses and systems on future competency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since the onset of the 21st century. According to my findings, communication competency categories are split into three areas (instrumental communication, global citizenship communication, innovative communication) and 11 specific competencies (language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technology literacy, understanding and empathy with others, conflict mediation and deliberation, convergent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ve communication). Furthermore, I redefine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competency as "the ability to interact deeply with the world through various media, to coexist as a human community through mutual understanding and coordination of opinions, to create shared values and knowledge, and to collaboratively solve common problem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dentifying the broad range of communication competencies as key future skills, unveiling detailed competencies, and providing fundamental data for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communication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