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김혜정, 2023, 인공지능 시대의 텍스트성, 어문연구, 200 : 343~371 Beaugrande 와 Dressler(1981)가 정의한 텍스트성 개념의 의의는 텍스트를 비로소 意思疏通 道具로 바라본 데 있다. 이는 단순히 언어 단위의 개념을 문장 그 너머로 확장했다는 의미에 머물지 않고 언어가 본질적으로 인간과 인간 간의 구체적인 의사소통, 즉 話用(pragmatic) 상황에서의 發話(utterance)임을 再想起시킨 것이라 하겠다. 나아가 人工知能(AI)의 시대에서 텍스트는 자질상 ‘디지털’ 텍스트를 가리키며, 이는 과거 그 어느 때보다 더, 텍스트가 본질적으로 媒體(media)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 특성은 무한한 시각화(text visualization)가 가능한 복합양식의 결합체라는 점, 인간의 두뇌로 담을 수 없는 엄청난 양의 배경지식과 맥락을 하이퍼텍스트로 구현하는 입체적인 지적 구조라는 점, 상호작용과 관계성을 목적으로 스스로 만들어지는 생성적 망이라는 점이다. 과거 텍스트를 정의할 때처럼 인간과 인간 간의 의사소통이나 상호작용을 ‘돕는 도구’라는 개념이 아니라, 텍스트가 어떤 상호작용성과관계성을 지니느냐에 따라 인간이 그 텍스트에 반응하고, 동시에 그 텍스트에 이끌려 반응하는 다른 인간들과 相互作用을 하거나 關係를 맺게 된다. 따라서 오늘날과같은 AI 시대에서는 미디어 그 자체가 인간의 모든 삶과 관계를 좌우하는 핵심이되어 버렸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의 주체적인 삶이나 의도한 관계 자체가, 텍스트라는 美名으로 덧씌어 구현되는 미디어에 의해 쉽게 물질화 또는 대상화 되고 만다. 따라서 텍스트가 생성하는 정보와 지식에 대해 보다 비판적 성찰이 요구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evolving concept of textuality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The significance of textuality as defined by Beaugrande and Dressler(1981) lies in seeing text as a communicative tool in a pragmatic situation. But in the age of AI, text refers to digital text, whereby it is essentially media. Its characteristics are that it is a combination of ‘multi modes’ capable of infinite audio-visualization, a three-dimensional ‘intellectual structures’ that implements a huge amount of background knowledge and context in hypertext, and ‘a generative networks’ created by itself for the purpose of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The first and second can be considered the expansion of the complex modality or radial network. The third appears much more active textuality, not only as a help tool for communication but as an agency, which attracts humans with strong technical affordance and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other humans. In other words, ‘reader’ responds to the text and then is connected to the other readers that belong to it, because the text or the online site where the text is written exists ever before. Therefore, in the AI era, human life are easily objectified in a myriad of generated texts, and text is placed in the center, which determines all human lives and relationships, Therefore, more critical literacy is required in the AI 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