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으-계 어미는 모음이나 ‘ㄹ’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 어미 두음인 ‘으’가 실현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ㄹ’로 끝나는 어간 뒤에서는 ‘사르면, 사르니까’와 같이 ‘으’가 실현되는 일이 종종 있다. ‘ㄹ’로 끝나는 어간이 모음으로끝나는 어간이 아니라 자음으로 끝나는 어간과 부류를 이루는 셈이 된 것이다. 이러한 ‘으’ 실현 현상은 충남에서 가장 두드러지고 인접한 충북과 전북은 그 절반 정도의 ‘으’ 실현율을 보인다. 이 현상은 패러다임, 특히 으-계 어미 결합형 패러다임의 규칙화가 동기로 작용한 것으로 해석되었는데, ‘-어야’가 으-계 어미와 같이 실현되면서 ‘사르야(살-으야)’와 같은 활용형이쓰이게 되는 현상이 지역적 일치를 보여 그 배경으로 작용한 것이 아닐까한다.


The ending initial /ɨ/ is not commonly realized after a verb stem ending in a vowel or /l/ but there are exceptions when it is realized after /l/-final stems. This means that /l/-final verb stems became to form a class with consonant-final stems not with vowel-final stems any more. This realization of /ɨ/ is most prominent in Chungcheongnam-do, while the adjacent regions of Chungcheongbuk-do and Jeollabuk-do exhibit this phenomenon to a lesser extent. It seems that this phenomenon is motivated by paradigmatic levelling, particularly in the paradigm of /ɨ/-initial endings and the co-occurrence of /-əja/∼/-ɨja/ such as in /saɾəja/∼/saɾɨja/ is thought to be a contributing factor to this phenomen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