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21년도(16차) 한국복지패널 아동 부가조사에 참여한 337명에 대한 자료를 이용하여부모 방임 및 비행친구의 매개효과를 고려한 가운데 가구 빈곤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가구 빈곤을 소득 중심의 정의를 탈피하여 부채 및 자산을 고려하는 한편, 잠재가능성의 상실(capability deprivation; Hick, 2012)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부모 방임과 비행친구가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유의미한 영향이 확인되는 가운데, 가구의 빈곤을 설명하는 변수 중 비우량부채비가 부모 방임과 비행친구 간의 관계를 이중매개 함으로써비행에 유의미한 간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청소년비행의 원인으로서 가구 빈곤을 고려함에 있어 비우량부채비와 같이 가구의 실질적 재정 부담을 더 정확히 반영하는 다차원적인 지표들로 측정하여야 하며, 빈곤이 부모 방임 및 비행친구와 같은 매개변인을 통해 청소년비행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Using data from the 2021 (16th) Korean Welfare Panel’s Supplementary Survey, which focused on 337 adolescents,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household poverty on juvenile delinquency while consider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neglect and delinquent peers. The study aimed to interpret household poverty as a form of capability deprivation (Hick, 2012) and define it by incorporating debt and assets, moving beyond an income-centered definition.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parental neglect and delinquent friends significantly influenced juvenile delinquency. Among the variables explaining household poverty, the non-prime debt ratio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delinquency by doubly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neglect and delinquent friends. Th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essential to employ indicators that more accurately reflect the actual financial burden of the household, such as the non-prime debt ratio, when assessing household poverty as a factor in juvenile delinqu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