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자살에 대한 태도 측정 도구 ATTS 타당화이다. 따라서 경찰공무원 2,94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ATTS를 통해 탐색적 요인분석(EFA)과 부분제약 목표회전 기반 탐색적 구조방적식 모형(ESEM)을 실시하여 적절한 요인구조를 산출하였다. 최종적으로 4개의 요인 ‘자살에 대한 수용적인 태도’, ‘불가피한 상황에서의 탈출 수단’, ‘자살의 보편화 경향’, ‘자살에 대한 편견’으로 구성된 구조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Rasch 모형 기반 평정척도모형(RSM) 분석을 실시한 결과 문항적합도, 피험자×문항 난이도, 응답범주의 적절성, 분리지수와 신뢰도 모두 적절한 값을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ATTS 요인 간 상관과 경찰공무원의 번아웃과 직장 내 따돌림을 측정하는 척도들과 수렴타당도를 분석한 결과 모든 요인에서 적절한 상관을 나타내고 있었다.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자살 태도를 측정하는 도구가 전무한 실정에 ATTS를 타당화 함으로서 경찰공무원의 자살 태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마련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경찰공무원의 자살 예방에도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This study aims to validate the Attitudes Toward Suicide Scale (ATTS) among Korean police officers. Thus, ATTS was administered to 2,948 korean police offic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actor structure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SEM) based on partial constrained target rotation, which resulted in an appropriate factor structure. Ultimately, it was confirmed that a structure consisting of four factors—'Acceptance of Suicide Attitudes,' 'Means of Escape in Inevitable Situations,' 'Tendency to Normalize Suicide,' and 'Prejudice against Suicide'—was the most suitable. Following that, the Rasch model was used to conduct the Rating Scale Model (RSM) analysis, which reveal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item fit, participant-item difficulty, response category adequacy, separation index, and reliability. Finally, examining the correlations between ATTS factors, emotional exhaustion among police officers, and workplace ostracism using scales, as well as analyzing convergent validity revealed appropriate correlations across all factors. This study shows significane in that it provides a validated tool, ATTS, for measuring korean police officers' attitudes toward suicide in a context where such tools were previously lacking. Therefore, we anticipate the study will bring a positive impact on suicide prevention among Korean police offic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