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증거기반 경찰활동과 경험적 연구에 대한 실무자의 불신은 증거에 기반한 정책이 입안되는 과정에서 장애물로 작용한다. 증거기반 경찰활동 관련 정책을 시행하는 데 있어 실무자들의 연구에 대한 수용성을 높이고 거부감을 낮추는 일이 중요한 이유이다. 이 연구는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일선 경찰관의 증거기반 경찰활동과 경험적 연구에 대한 수용성 및 거부감 수준에 따른 계층을 분류하고, 각 계층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서울 7개 관할서의 경찰서 및 지구대에 근무하는 경찰관 467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의 잠재프로파일(높은 수용성-낮은 거부감, 중간 수용성-중간 거부감, 낮은 수용성-높은 거부감)으로 분류되었다. 계층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근무 기간이 길수록, 계급이 높을수록 높은 수용성-낮은 거부감보다 낮은 수용성-높은 거부감의 빈도가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연구를 통해 규명된 일선 경찰관의 증거기반 경찰활동의 수용성 및 거부감에 대한 잠재프로파일별 특성을 바탕으로 경찰관들의 증거기반 경찰활동의 수용성 증진하고 거부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mployed latent profile analysis to classify police officers based on their levels of receptivity and resistance to evidence-based policing. The study als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latent profiles 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officers. Data were collected from 467 police officers working across various police stations and police boxes in Seoul. The analysis yielded three distinct latent profiles: high receptivity-low resistance, middle receptivity-middle resistance, and low receptivity-high resista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length of tenuer, and class were associated with latent profiles. Specifically, officers with higher age, longer tenure, and higher class exhibited a higher frequency of belonging to the low receptivity-high resistance profile as opposed to the high receptivity-low resistance profile.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the latent profiles of police officers' attitudes toward evidence-based policing. Additionally, the study explores potential avenues for enhancing the receptivity and reducing the resistance to evidence-based policing among law enforcement personnel. The paper concludes by suggesting areas for further research in this dom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