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중독자를 고통을 받는 이로 이해할 것을 제안하면서 시작한다. 이 점을 인식하면 응보적 형사사법만으로는 중독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할 수 있게 된다. 사랑의 형법학을 지향하는 응보적·회복적·치료적 사법의 통합적 운영 가능성은, 인간 생명의 존엄성을 바탕으로 이타적인 사랑을 적극적으로 실천한 김수환 추기경 정신에서 그 희망을 찾을 수 있다. 모든 국민이 존엄하다고 명시한 대한민국헌법 제10조를 어떤 처지에 있든지 하느님의 사랑을 받는 인간인 한 존엄하다는 뜻으로 해석하는 김수환 추기경을 통해 시민들의 사회적 생명의 끈을 쥐고 있는 형사사법이 담당해야 할 역할을 새롭게 이해해 볼 수 있다. 중독 범죄에 대해 시민들이 요청하는 강력한 형법의 모습은 규제기능이 아닌 선도기능으로 응답해야 할 것이다. 모든 시민들이 법공동체 구성원으로서 중독의 고통에 참여하여 중독자들을 희망으로 이끌 수 있는 통합적 형사사법정책에는, 치료주체로서 법원이 기능하고, 수사기관은 범죄성을 인지시켜주는 간섭적 조치를 행하며, 중독 문제로 고통받는 이의 가족과 같이 가장 가까운 이들이 해결방법의 주도권을 가지는 정책 등이 제시될 수 있다.


This article suggests recognizing addicted people as suffered ones, since this transition of the existing paradigm would help us admit that traditional retributive criminal justice cannot alone itself solve addiction problems. The possibility of success of a unified operation of retributive justice with restorative and therapeutic justice in view of a criminal jurisprudence of love can be rooted in Cardinal Stephen Kim Sou-Hwan’s perspectives, which can be defined as altruistic positive action based on human dignity. When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says that all citizens are dignified, Cardinal Stephen Kim Sou-Hwan’s interpretation that ‘human beings are dignified because they are loved by God’ provides a compass for the role of criminal justice, which holds the social lifeline of citizens. The request by modern citizens for a strong criminal law should be met not by a regulatory function but as a leading function. As members of the legal community, all citizens can participate in addicted people’s sufferings and guide them. This article suggests specific policies, such as the operation of courts as a means of healing, investigative agencies serving interventive functions to aid the comprehension of criminality, and giving agency for problem-solving to both people who are closest to crime and community memb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