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재중 한인 아나키스트이자 문예론자인 유기석이 20세기 20년대 중반부터 50년대 초반까지 중국매체들에 발표한 자료 중, 새로 발굴한 자료들을 주로 고찰하면서 그 자료들의 가치를 분석하여 평가하고 그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삼았다. 재중 항일아나키스트로서 유기석은 독립운동에 적극 참가하는 한편 중국의 여러 매체들에 자신의 아나키즘 이상과 사상을 표명한 문장들을 다수 발표했는바 현재까지 발굴하여 정리한 글들이 무려 170 여 편에 달한다. 그리고 유기석은 이 시기 중국 여러 신문과 잡지들의 창간이나 편집에 관여하였는데 그 관련 매체수가 27종에 달한다. 이와 같은 활발한 문필활동과 편집활동들에서 우리는 그의 아나키즘이상에 대한 집념과 추구를 엿볼 수 있다. 그가 발표한 문장들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우선, 장르가 다양하다. 그의 문장에는 문예평론 외에도 기행문, 시, 수필(산문), 회고록 같은 문체가 있는가 하면 사회와 경제, 또는 국제정치를 다룬 정론도 있다. 유기석은 이와 같은 문체들을 통해 자신의 사상과 감정을 다각도로 표현하고 있다. 다음, 내용이 매우 풍부하다. 유기석의 문예비평들은 주로 아나키즘문예이론에 대한 견해, 즉 그가 극구 주장한 민중 중심의 ‘민중예술론’ 등을 주로 보여주고 있으며 시나 수필 및 기행문들은 디아스포라 한인으로서 이국땅에서 살아가면서 느낀 사적인 감정, 사상적인 고민, 소감 등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정론이나 사회 논평들은 주로 식민지 국내현실과 조선에 대한 일본의 약탈정책과 탄압에 대한 비판, 미국과 일본, 러시아, 그리고 유럽의 독일,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등 세계열강들 간의 외교 및 군사적 갈등, 각 나라들의 내부 법률제도와 경제정책, 또는 한국과 인도, 필리핀 등을 포함한 동방약소민족 국가들의 자유민주운동과 독립운동 상황이나 각국의 무정부주의운동에 대한 견해, 반식민지 중국의 농업경제상황과 사회현실문제 등에 대한 유기석 나름의 견해들을 보여주고 있다. 총괄적으로 유기석의 문장들에서 우리는 아나키스트로서 그의 아나키즘이상에 대한 추구와 자유평등에 대한 갈망, 높은 시대적 사명감, 강자가 약자를 억압하는 불합리한 현실을 개혁하고자 하는 강인한 의지와 투쟁정신, 그리고 남다른 국제적 안목과 넓은 학식, 깊은 문예 소양도 엿볼 수 있다. 유기석은 아나키즘사상을 철학적으로 논의한 문예론자일 뿐만 아니라 그것을 민중 해방의 실천에 접목시키고자 노력한 행동주의아나키스트였다.


This paper mainly investigates newly discovered articles published in Chinese media from the mid-20s to the early 50s of the 20th century by Yu Ki-seok, a Korean anarchist and literary scholar in China, analyzes and evaluates the value of those articles, and gives them new meaning. As an anti-Japanese anarchist in China, Yu Ki-seok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published many articles expressing his anarchist ideals and thoughts in various Chinese media. As many as 170 articles have been discovered and organized to date. Yu Ki-seok was involved in the founding and editing of various Chinese newspapers and magazines during this period, and the number of related media reached 27 types. In these active writing and editing activities, we can get a glimpse of his obsession and pursuit of anarchist ideals. The articles he published generally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there are various genres. In addition to literary criticism, his writings include styles such as travel writing, poetry, essays (prose), and memoirs, as well as political opinions dealing with society, economy, or international politics. Yu Ki-seok expresses his thoughts and emotions in various ways through these writing styles. Next, the content is very rich. Literary criticism mainly shows his views on anarchist literary theory, that is, the people-centered ‘people’s art theory’ that he strongly advocated, and his poems, essays, and travel writings reflect his personal emotions, ideological concerns, and impressions he felt while living in a foreign land as a diaspora Korean. It shows the back. Political opinions and social commentary mainly include criticism of the colonial domestic reality and Japan’s plundering policy and oppression of Joseon, diplomatic and military conflicts between the United States, Japan, Russia, and world powers such as Germany, Britain, Italy, and France in Europe, and Each country’s internal legal system and economic policy, the situation of liberal democratic movements and independence movements in Eastern countries including Korea, India, and the Philippines, views on anarchist movements in each country, and the agricultural economy and social problems of semi-colonial China. It introduces awareness, etc. Overall, through Yu Ki-seok’s articles, we can observe his pursuit of anarchist ideals as an anarchist, his yearning for freedom and equality, his strong sense of duty towards the times, his unwavering will and fighting spirit to challenge the unreasonable reality where the powerful oppress the weak, and his remarkable international perspective. We can also gain a glimpse of his extensive knowledge and profound literary understanding. Yu Ki-seok was not only a literary scholar who philosophically explored anarchist ideas, but also an active anarchist who endeavored to integrate them into the practice of people’s lib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