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양식 텍스트 과정에서 초등학생 필자가 선택하는 양식과 기술 자원, 이들이 제공하는 행위 유도성과 제한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제작된 복합양식 텍스트 양식의 상호 작용 유형과 응집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필자 25명의 실제 디지털 환경에서 복합양식 텍스트 제작 과정을 화면 녹화하여 분석하였다. ‘디지털 매체 사용 경험’, ‘체계적인 디지털 수업의 부재’, ‘가정과 학교에서 컴퓨터 사용의 제한’, ‘단순한 의사소통 방식의 선호’, ‘디지털 매체 사용의 부정적 인식’은 학생 필자의 복합양식 텍스트 작성에서 선택하는 양식과 기술 자원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 필자들은 주로 양식 간 일치와 상호 작용을 활용하여 복합양식 텍스트를 작성하였으며 응집성은 제대로 고려하지 못하고 있었다. 디지털 기기와 매체 사용 교육과 응집성 있는 복합양식 텍스트 제작을 위한 지도 방안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forms and technical resources select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well as their affordances and limitations when writing multimodal text. Furthermore, it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types and coherence of multimodal text forms produced through the selected forms. In this study, 25 elementary school students’ multimodal text writing processes were screen-recorded and analyzed in the digital environment. The following were found to affect the form and technical resources selected by students: experience in using digital media, lack of systematic digital classes, restriction of computer use at home and school, preference for simple communication methods, and negative perception of digital media use. In addition, the students mainly wrote multimodal texts using concurrent modes, and coherence was not properly considered. It is necessary to study instructional plans for education regarding the use of digital devices and media and the production of cohesive multimodal tex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