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대법원에서 국공립대학교 비학생 조교에 관한 두 차례 판결이 났다. 해당 사건은 원고가 기간제법 제4조 제1항 단서의 기간제 예외사유인 고등교육법 제15조의 교육, 연구 그리고 학사에 관한 사무 보조업무인 조교의 임무를 수행하였는지가 핵심 쟁점이었다. 두 판결 모두 하급심 법원에서는 학업을 병행하면서 사무업무를 진행해야 고등교육법상 조교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고 보아 원고들의 청구를 인용하였으나, 대법원에서는 원고의 청구가 기각되었다. 두 번의 판결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학에서는 조교의 법적 지위가 명확하지 않아 혼란스럽다. 관련 법령에서 조교의 근무 기간을 1년으로 정하였을 뿐 몇 회까지 계약연장이 가능한지 규정하지 않고, 고등교육법에서 조교를 교원에서 제외하였음에도 교원과 유사한 보수를 받고 있으며, 주 40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하더라도 시간외수당을 받지 못한다. 이는 우리가 학업을 병행하는 학생 조교만 인정하고, 엄연히 대학 내 존재하는 비학생 조교를 애써 부정해 온 결과이다. 현재 존재하고 있는 비학생 조교를 대학 내 직업인으로서 인정하여야 하며, 입법적 정비를 통하여 조교 관련 법적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여 학내 불필요한 긴장과 노사 갈등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Recently, the Supreme Court ruled on non-student teaching assistants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this case, the issue was whether a non-student teaching assistant performed the duties of a teaching assistant under Article 15 of the Higher Education Act and fell under the exception to the fixed-term teaching assistantship in the proviso to Article 4. The key question is whether they actually performed the same tasks as administrative staff. In reality, the university administrative work and administrative assistant work related to academic affairs. The question is whether a clear distinction can be made. In addition, in both cases, the lower court, which accepted the plaintiff's claim, ruled that a teaching assistant's duties under the Higher Education Act can only be performed if he or she performs office work while studying. However, there is nowhere in the Higher Education Act that states that teaching assistants must concurrently study and the status of the national teaching assistant system was changed. But minor institutional arrangements have not been implemented. I think there is a need for legislative overhaul in this regard. Through this legal and institutional overhaul, I hope that non-student teaching assistants will be able to properly establish themselves as members of the university along with staf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