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지방의회의 전문성 및 자율성, 독립성 확보를 위해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이 통과되면서 신설된 정책지원관 제도는 의정자료 수집・조사・연구 등 다양한 직무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제도운영과정에서 지방의회 의원과의 소통 문제, 지방의회 이탈로 인한 인력난 문제, 직무 범위 및 대우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기대불일치 문제 등 다양한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다양한 선행연구에서는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이 높을수록 조직구성원의 헌신을 이끌어내고 결과적으로 조직에 대한 애착을 형성하게 되며 조직성과를 상승하는 결과를 야기한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책지원관의 조직몰입을 제고하기 위해 조직몰입에 선행요인이 될 수 있는 직무만족, 기대불일치, 조직신뢰, 상사신뢰(의원신뢰)에 대해 다룬다. 분석결과, 직무만족, 조직신뢰는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조직생활 및 대우에 대한 부정적 기대불일치는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상사신뢰(의원신뢰)는 조직몰입과의 영향 관계에 있어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정책지원관의 직무만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방의회 소속 일반직 공무원들과의 신뢰 관계 형성, 가치공유 및 소통을 위한 대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조직신뢰를 높이기 위해 의회의 정책결정에 있어 절차적으로 공정하게 시행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시키고 효율적인 정책지원관의 업무배분과 공정한 인사제도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정책지원관의 조직생활 및 대우에 대한 부정적 기대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정책지원관의 전문성과 직급에 맞는 적절한 대우가 필요하며, 이와 관련하여 일반직 공무원뿐만 아니라 지방의원 등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방침을 마련해야 한다.


The policy support officer system was newly introduced to strengthen the expertise, autonomy, and independence of local councils. Policy support officers perform a variety of duties, including collecting legislative data, investigating, and researching. Howeve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ystem, various problems such as communication problems with local council members, manpower shortage, and mismatched expectations arising from job scope and treatment are occurring.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the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leads to improv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expectation discrepancy, organizational trust, and trust in superio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olicy support offic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job satisfaction and trust in the organiza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discrepancy in expectations about organizational life and treatmen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ly, as a way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policy support officers, it was suggested to seek alternatives for forming trust relationships, sharing values, and communicating with public officials belonging to local councils. Additionally, in order to increase trust in the organization, there is a need to raise awareness that the council's policy decisions are being implemented procedurally and fairly.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re is a need to implement efficient distribution of work for policy support officers and a fair personnel system. Lastly, in order to resolve the discrepancy in expectations of policy support officers, appropriate treatment is needed according to the expertise and rank of policy support officers, and in relation to this, it was suggested that training for not only public officials but also local council members is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