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국제화 다문화 사회에서 두 가지 이상의 언어를 습득하는 일이 자연스러운 현상인 시대에 살아가고 있다. 국제 사회에서 제2언어로서 표준중국어는 여전히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언어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제2언어로서 중국어 학습 과정에서 제2언어가 모국어에 미치는 영향성을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중국인 모국어 화자와 중국에서 유학하는 한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표준중국어와 한국어의 폐쇄음의 산출 실험을 진행하여 발성유형의 음향적 특징(H1-H2)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제2언어를 표준중국어로 사용하는 고급 수준의 화자 집단이 모국어인 한국어 폐쇄음의 H1-H2 실현에서 유의미한 변화들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이중언어 사용자가 처한 언어 환경이 제2언어의 산출에 끼치는 영향과 제2언어 습득 중의 모국어의 역행 전이 현상을 뒷받침하는 또 하나의 근거로서 연구 의의가 있다.


We are living in an era of acquiring more than two languages in an internationalized and multicultural society. As a second languag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tandard Chinese is still one of the languages that receives a lot of attention.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the second language on the first language in the process of learning Chinese as a second language. Specificall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calculation of closed sounds in standard Chinese and Korean for native Chinese speakers and Korean students studying in China to compare and analyz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H1-H2) of the vocal typ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the realization of H1-H2 of the Korean stop, which is the native language, by a group of high-level speakers using a second language as a standard Chinese. Thes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as another basis for supporting the impact of the language environment faced by bilingual users on the output of second languages and the backward transfer phenomenon of their first language during second language acqui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