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당대의 용문석굴은 불교의 토착화 과정에서 민간사상, 도교의 신선사상, 그리고 국가 통치이념에 부합하는 통치자 권력과의 결합을 통해 범국가 사업적 관점에서 조성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용문석굴을 중심으로 당나라 시대 불교 조각에 나타난 토착화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용문석굴의 분석을 통해 얻은 당대 토착화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실주의 예술적 기법채택으로 대중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인격화하여 존경받도록 하였다. 인격화가 될수록 석굴조각예술은 대중들이 받아들이기 쉽고 더욱 많이 신앙화 되면서 토착화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서방 극락세계로 인도해 주기를 희망하는 기도 마음으로 안정미, 친근감이 있는 자신들만의 문화를 창조적으로 표현하였다. 셋째. 당시 불상 조각은 시대 풍습을 반영한 건강하고 풍만한 스타일을 추구하였다. 현실 세계에서 선택한 아름다움과 건강의 전형이 조각품에 반영되어 부처님의 위대함을 찬양할 수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당나라 시대 용문석굴의 조각상에 영향을 미친 이전 왕조시대 조각상에 대한 특징과 이후 세대의 토착화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indigenousization of Buddhism, Yongmun Cave was created as a Buddhist sculpture from a pan-national business perspective through the combination of basic folk ideas, Taoist fresh ideas, and ruler power in line with national governa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the characteristics of indige nousization in Buddhist sculptures during the Tang Dynasty were, focusing on Yongmun C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genousization of the time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Yongmun Cave are as follows. First, the adoption of realist artistic techniques made them respected through personalization that meets the needs of the public. In other words, the more personalized the art of stone cave sculpture is, the easier it is for the public to accept and become more religious and indigenous. Second, they creatively expressed their own culture of stability and familiarity with the hope of guiding them to the Western paradise world. Third, Buddha sculptures at that time pursued a healthy and rich style that reflected the customs of the times. It was considered that the beauty and health selected in the real world could be reflected in the sculpture to praise the greatness of the Buddha.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tues of the previous dynasty that influenced the statues of Yongmun Stone Cave in the Tang Dynasty and the indigenousization of later gene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