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philosopher Jean-Luc Marion present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the Trinity. He argues that God reveals himself in a trinitarian way because God is the Trinity. He criticizes traditional trinitarian theology based on metaphysics in that it fails to resolve the intrinsic contradiction between the unicity of the one God and the plurality of the persons of the Trinity. He proposes, rather, ‘trinitarian revelation.’ In this, Jesus Christ, the revelation par excellence, unveils the Father, while the Holy Spirit guides the beholder to see the icon of the Son from the proper perspective. This anamorphosis model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metaphysical-oriented theology of the Trinity. It stresses that the beholder sees the sole visibility of the Son and appreciates the communion of plurality in charity within the mutual relationships of the persons of the Trinity. Marion’s trinitarian revelation was influenced by Karl Barth, Karl Rahner, and Hans Urs von Balthasar; but his understanding of revelation is marked by an ‘absence of soteriology.’ Different from their holistic soteriology of traditional Christian theology, he presents only a passive kind of soteriology based on the epistemological conversion of those who encounter revelation through faith. His phe nomenological approach to revelation and the Trinity provides a new interpretation, but it needs further development.


프랑스의 현상학자 장-뤽 마리옹(Jean-Luc Marion)은 최근 두 권의 책에서 삼위일체이신 하느님이 계시를 통해 당신이 삼위일체임을 드러내실 뿐 아니라, 그 계시의 방식 또한 삼위일체적임을 제시하였다. 그는 현상학적 방식을 통해 ‘아나모포시스(anamorphosis)’ 모델로 이를 설명하는데, 성령의 인도를 통해 인간은 이콘이신 성자를 바라보게 되고 나아가 보이지 않는 성부(골 1:15)를 마주하는 계시의 경험을 하게 된다. 마리옹의 계시 모델은 예수의 이콘이라는 하나의 가시성이 세 위격의 관계성을 통해 드러나기 때문에 존재론적인 삼위일체론이 지닌 ‘하나의 존재-다수의 위격’이라는 모순을 극복하며, 또한 계시가 언제나 인간의 수용 조건을 넘어서는 포화된 현상임을 상정하기 때문에 인간의 선형론적인 시간 개념에 갇힌 역사적 삼위일체론을 보완한다. 마리옹의 삼위일체적 계시는 많은 부분 칼 바르트(Karl Barth), 칼 라너(Karl Rahner), 그리고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사르(Hans Urs von Balthasar)의 영향을 받았는데, 그럼에도 그의 논의가 이들 신학자과 달리 지닌 약점은 바로 ‘구원론의 부재’이다. 마리옹은 믿음을 통해 계시를 마주한 자들의 개인적이고 인식론적인 회심으로 아주 소극적인 구원론을 제시하는데, 이는 그리스도교 신학이 제시하는 전체론적인 구원론과는 차이가 있다. 그의 계시와 삼위일체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은 기존 신학에 새로운 해석의 틀을 제공하지만, 이후 작업 안에서는 우리를 살리려 하시는 하느님의 구원적 의지가 응당 적극적으로 드러나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