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5세기 용언 어간과 겸양법 선어말어미 결합형 중 비전형적 형태인 ㅆ형은 ① 해당 음소의 지위가 불안한 상황에서 겸양법 선어말어미의 결합 양상이 이전 시기의 교체에 기반하였거나(ㅿ), ② 자음군인 어간 말음이 음절말 중화로 인해 일관된 형태로 출현하지 않거나(ㅺ), ③ 음절말 중화를 통해 예상되는 어간의 형태와 겸양법 선어말어미 결합형으로부터 예상 가능한 어간 형태가 불일치하는(ㅎ) 등으로 인해 각 용언 어간과 겸양법 선어말어미 결합형에 대한 형태론적 인식이 불투명할 때 출현한다. 반면 순수한 ㅅ이 말음인 어간의 겸양법 선어말어미 결합형은 전형적 표기형(ㅅ/ㅅ형)으로 나타나는데 해당 결합형에 대한 형태론적 인식이 투명하기 때문이다. ㅈ(ㅊ) 말음의 용언 어간이 ‘-ᄌᆞᆸ-’과 결합할 때에는 ㄷ/ㅈ형, ㅉ형이 확인된다. 15세기 이전의 교체 양상을 유지하는 겸양법 선어말어미의 교체와 15세기 새롭게 출현한 음절말 중화가 적용되어 ‘좃ᄌᆞᆸ-’ 등의 결합형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형태는 언어사용자에게 혼동을 초래하였다. 이에 이들은 순수한 ㄷ을 말음으로 가지는 용언 어간과 ‘-ᄌᆞᆸ-’과의 결합형에서 포착되는 ㄷ/ㅈ연쇄에 대응되는 표면형 [tts]를 유추적 토대로 ㄷ/ㅈ형, ㅉ형을 도출한다. 서로 다른 두 가지 형태가 도출되는 것은 언어사용자 간 해당 용언 어간에 대한 형태론적 인식 차로 인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겸양법 선어말어미 결합형이 서로 다른 두 가지(전형적, 비전형적) 형태로 출현하는 것은 언어사용자 간 해당 결합형과 관련한 형태론적 인식 차 때문으로 보인다.


In Korean, the ㅆtype, seen in 15th century conjugated forms with object honorific endings, arises due to the forms in situations where the position of the some phoneme(ㅿ) is unstable might have been based on replacements from previous periods, difficulties in morphological awareness of the stem coda due to neutralization(ㅺ), and discrepancies between expected stem forms from neutralization and conjugated forms with object honorific endings(ㅎ). Verb stems ending in a pure ㅅ sound use the typical ㅅ/ㅅtype as their recognition is clearer. For verb stems ending in ㅈ (ㅊ) combined with -ᄌᆞᆸ-, the final sound becomes ㄷ (ㄷ/ㅈtype) due to historical combining patterns and neutralization. The emergence of the ㅉtype resulted from language users observing the ㄷ/ㅈ alternation, causing potential confusion. The preference for the ㅉtype likely stemmed from the unstable recognition of verb stems. This presents a historical perspective on verb conjugation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