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인지언어학적 성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와 중국어 개사 ‘在’의 다의적 의미 기능을 비교 분석하여 두 언어 간에 공유된 인지 양상을 살펴보고 그 세부적인 공통점 및 차이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기존 사전 및 문법서에서 ‘에’에 대한 제시 양상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인지적 대조언어학 관점에서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와 중국어 개사 ‘在’의 의미 확장 양상을 대조하여 검토하였고 아래와 같은 공통점 및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와 중국어 개사 ‘在’의 원형 의미는 모두 공간 의미인 ‘장소’이다. 둘째, 한국어 ‘에’는 보통 0차원, 1차원, 2차원의 공간 관계를 나타내는 데 반해 중국어 개사 ‘在’는 0차원, 1차원, 2차원, 3차원의 공간 관계를 모두 표현할 수 있다. 셋째,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와 중국어 ‘在’의 원형 의미는 공통적으로 ‘그릇 도식’, ‘접촉 도식’, ‘근접 도식’, ‘경로 도식’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세부적인 차이가 있다. 넷째,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와 중국어 개사 ‘在’의 다양한 의미들은 임의로 분포되는 것이 아니라 영상 도식 은유를 통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Based on the results of cognitive linguistics,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olysemous semantic functions of the Korean adverbial case marker ‘e’ and the Chinese preposition ‘zai’ to explore the cognitive aspects shared between the two languages and to reveal their detail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ly examine the Korean adverbial case marker of ‘e’ in dictionaries and grammar books. Next, from the perspective of contrastive cognitive linguistics, the semantic expansion of the Korean adverbial case marker ‘e’ and the Chinese preposition ‘zai’ were contrasted and examined, and the follow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derived. Firstly, both the Korean adverbial case marker ‘e’ and the Chinese preposition ‘zai’ have a spatial meaning of ‘place’. Secondly, Korean ‘e’ usually refers to spatial relationships in zero, one or two dimensions, while Chinese ‘zai’ can express spatial relationships in zero, one, two, or three dimensions. Thirdly, the Korean ‘e’ and the Chinese ‘zai’ have a common prototype meaning of ‘container schema’, ‘contact schema’, ‘near far schema’, and ‘path schema’, but there are some detailed differences between the schemas. Fourthly, the various meanings of the Korean adverbial case marker ‘e’ and the Chinese preposition ‘zai’ are not randomly distributed, but are organically connected through the image schematic metap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