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국어학 개론서는 국어학계에서 일반론으로 수용되는 국어학의 기초 이론과, 이를 뒷받침하는 학계의 주류 언어관을 반영하는 논저이다. 본 연구는 현대 국어학 개론서의 체제 구성을 시대별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계에 자리잡은 언어관의 동향과 전망을 살펴보았다. 1950년대 이전 시기의 국어학 개론서는 이론언어학, 특히 형태론에 큰 비중을 두고 기술되었다. 1950년대∼1960년대에는 서구 언어학 이론이 유입되면서 이론언어학의 다양한 하위 분과가 국어학 개론서에 자리잡았다. 1970년대∼1980년대부터는 이론언어학의 각 하위 분과의 내용 구성의 비중이 균형 있게 정제되는 한편, 응용언어학의 하위 분과가 국어학 개론서에 편성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2000년대부터는 응용언어학의 분과 확장이 더욱 가속화되었고, 2010년대 이후 국어학 개론서까지 이러한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는 이론언어학의 학술적 기반 위에 응용언어학의 영역으로 국어학의 저변이 확장되어가는 동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Introduction books to Korean linguistics reflect the basic theories of linguistics that are generally accepted in academia and the mainstream linguistic views that support them. This study examines the organization of Introduction books to Korean linguistics by time period and examines the trends and prospects of linguistic views in academia. Before the 1950s, introduction books to Korean linguistics were heavily weighted toward theoretical linguistics, especially morphology. In the 1950s and 1960s, accepted of Western linguistic theories, led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sub-branches of theoretical linguistics. From the 1970s and 1980s, the content of each subdivision of theoretical linguistics was refined and balanced, while the subdivisions of applied linguistics began to be organized. From the 1990s to 2000s, the expansion of applied linguistics subdivisions accelerated, and this trend has continued since the 2010s. This is interpreted as a reflection of the trend of expanding the base of linguistics into the field of applied linguistics based on the academic foundation of theoretical lingu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