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paper aims to demonstrate that there are significant resonances between Julian’s visions of salvation and Incarnation and the Orthodox Church’s doctrine of theosis. For Julian the contents of salvation is the transformation—in her words, “increasing”—of human nature, which is effected by the Incarnation. While Anselm’s theory focuses on the need to repair the damage caused by sin as the reason for the Incarnation, Julian’s perspective centers on God’s desire to elevate and fulfill human nature through the Incarnation. Julian’s views resonates with the Orthodox’s concept of theosis. Both emphasize that salvation involves a profound and ontological transformation of human nature, which is made possible by the Logos’ becoming flesh. Both perspectives are firmly rooted in the Christology defined by the Ecumenical Councils and see the Incarnation itself as an act of salvation. In both perspectives, the Incarnation is not solely a response to human sin, but serves as the means for humanity to participate in the divine nature(2 Pet. 1:4).


본 논문은 구원과 성육신에 대한 줄리안의 비전은 동방정교회 신화(theosis) 사상과 깊이 공명(共鳴)함을 보이고자 한다. 줄리안은 구원의 내용을 성육신으로 인한 인간 본성의 변화—그녀의 표현으로, “증가”(increasing)—로 이해한다. 안셀무스의 신학은 성육신의 이유를 설명할 때 죄로 인해 초래된 손상의 회복 필요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줄리안의 비전은 성육신을 통해 인간 본성을 변모시키고 완성시키고자 하는 하나님의 열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줄리안의 비전은 정교회의 신화 교리와 공명하는데, 두 사상 모두 구원은 인간 본성의 심오하고 존재론적인 변화를 수반하며 이것이 로고스의 육화의 주된 영성적, 신학적 의의라는 점을 강조한다. 두 사상 모두 에큐메니칼 공의회가 정의한 기독론에 확고한 뿌리를 둔 구원론으로서, 성육신 자체를 하나님의 구원 행위로 보며, 성육신을 단순히 인간의 죄 문제에 대한 응답이 아니라 인류가 “신성한 성품에 참여”(벧후 1:4)할 수 있게 된 사건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