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면접 상황에 대한 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McCarthy와 Goffin(2004)이 개발한 면접불안 척도(Measure of Anxiety in Selection Interviews: MASI)를 국내 실정에 적합하게 번안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MASI를 번안하고 예비 연구를 거친 후, 20대 대학생 637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판 면접불안 척도는 원 척도와 마찬가지로 5개의 요인으로 구성된 것으로 확인되었고 최종적으로 25문항이 선정되었다. 한국판 면접불안 척도의 수렴 및 준거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자기보고식 의사소통 불안척도, 시험불안 측정도구, 부정적 평가의 두려움 척도, 자의식척도, 상태불안 척도와 같은 불안 관련 준거 척도들과 양호한 수준의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한국판 MASI의 모든 문항의 내적 일치도는 높은 수준이었으며, 임의 추출한 58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2회 실시하여 얻은 검사-재검사 신뢰도 역시 확보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dapt and validate the Measure Anxiety in Selection Interviews (MASI) developed by McCarthy and Goffin(2004) to measure anxiety in interview situations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adopted the MASI and conducted an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637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after a preliminary study. As a result, the Korean version of the MASI was designed to consist of five factors, just like the original scale, and 25 items were finally selected.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Interview Anxiety Scale was examined. The results showed a good level of static correlation with anxiety-related measures such as the Self-Reported Communication Anxiety Scale, Test Anxiety Measur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 Self-Consciousness Scale, and State Anxiety Scal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all item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ASI was relatively high, and test-retest reliability was obtained by administering it twice to 58 randomly selected participants.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based on the im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