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소흔, 2023, 20세기 종결어미의 보조사 결합 및 사용 양상, 어문연구, 200 : 35~64 이 연구는 20세기 終結語尾의 補助詞 結合 및 使用 樣相에 대한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이 들의 사용 양상이 종결어미 변화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補助詞란 말에 붙어 특수한 뜻을 더해 주는 것으로, 이 가운데 終結補助詞는 문장 끝인 종결어미에 붙어 의미나 기능을 더하는 것이다. 종결어미의 보조사 결합 유형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補助詞 結合形으로 보조사 생략이 가능한 형태이고, 둘째, 補助詞 融合形으로 보조사가 어미에 융합되어 생략이 불가능한 형태이다. 이를 바탕으로 2장에서는 종결어미의 보조사 결합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 3장에서는 이 가운데 사용 양상에 따라 변화를 보이는 형태를 중심으로 보조사 결합형 종결어미의 사용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럼으로써 종결보조사 결합형이 결합 환경이 같다고 하여 그 양상이 같게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용 양상에 달라지기도 하는데 여기에는 화자의 태도, 화·청자의 관계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alterations in the combination and usage of final endings with auxiliary particles in the 20th century, with a focus on how these use aspects are linked to changes in final endings. an auxiliary particle, when attached to a word, contributes a special meaning, and when combined with a final ending, it enhances the meaning or function of the final ending of a sentence.The interaction between final endings with auxiliary particles can be categorized into two types: the combination type, where the auxiliary particle can be omitted, and the fusion type, where the auxiliary particle merges with the ending, making omission impossible. Based on this framework, Section 2 of the study examines the aspects of combination between final endings with auxiliary particles, while Section 3 examines the forms exhibiting changes based on use, specifically exploring combined final endings and auxiliary particles. It was confirmed that even when the combination environment is identical, combined ending auxiliary particles do not necessarily exhibit the same realization aspects. The use may differ, with factors such as the speaker’s attitud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the hearer serving as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