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예비중등교사를 대상으로 공감적 발문에 기초하는 하브루타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그 효과를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측면에서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서울시 K 대학에서 교직과목을 수강하는 예비교사 20명이 8주 동안 하브루타 프로그램 (2주간 하브루타 이론과 방법 수업과 6주간 하브루타 실습 포함)에 참여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위해 김아영,박인영(2001)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위해 배을규,이민영(2010)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소 중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신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의 하위요소 중 학습동기와 자아개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하브루타 프로그램은 텍스트와 공감적인 발문들을 제기함으로써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교사에게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감적 발문 모형에 기초한 하브루타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설계방법과 프로그램의 예시를 제시했다는 데 시사점이 있다.


This study designed a Havruta program based on empathic questioning for second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nd verified its effects in term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wenty pre–service teachers taking teaching courses at K University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Havruta program during the 8th session including twh sessions of Havruta theory and methods and six sessions of Havruta practice. As a measurement tool, a tool developed by Kim Ah–young and Park In–young (2001) was used to measure academic self–efficacy, and a tool by Bae Eul–gyu and Lee Min–young (2010) was used to measur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factors of academic self–efficac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ask difficulty preference and confidence. Second, among the sub–elemen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motivation and self–concept. These Havruta programs had a positive impact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y raising text and empathic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in that they presented examples of specific design methods and programs for the Havruta program to improve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o pre–service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