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俛宇 郭鍾錫 性論의 특징과 의의를 ‘偏全之性’에 대한 主理的 해석을 중심으로 확인하고 있다. 곽종석의 성론에서 확인되는 특징은 종래의 氣質之性의 범주에 있는 편전지성을 기질지성과 구별할 뿐 아니라 本然之性으로 확장하여 해석한다는 것에 있다. 氣의 대립적인 속성인 偏全은 물리적 개념이면서 동시에 가치 개념이 투영된 것이다. 하지만 곽종석은 편전을 존재론적으로 물리적 개념으로만 사용할 뿐 가치 개념을 대입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곽종석에게 비록 편전지성이 기와 관계 맺은 성이라 하더라도 그것은 선악의 차이를 함의하는 기질지성으로서 규정될 수 없다. 이러한 측면에서 곽종석은 편전지성을 도덕적 함의를 가진 본연지성으로 확장하는 단계까지 나아간다. 물론 理氣不相離・不相雜의 관계에 따라 편전지성에서 理만 單指하면 본연지성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곽종석은 오히려 不相雜의 존재론적 조건에서 본연지성을 규정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곽종석은 인간뿐 아니라 동물에게도 五常이 본성의 구체적인 내용이 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곽종석이 편전지성을 기질지성과 구분하고 더 나아가 본연지성으로 확장하는 것은 현실과 유리되지 않은 도덕 본성의 실재함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즉, 리만을 단지하여 본연지성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기의 현실적인 맥락을 놓치지 않으면서 동시에 편전지성에 대해 성의 본질적 의미를 담고 있는 리를 중심으로 해명하는 것 역시 간과하지 않는다. 이러한 곽종석의 주리적 성론은 심성을 一理로 파악하는 寒洲學派의 心卽理說의 논리에도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Kwak Jongseok's theory of nature with a focus on his Li-based interpretations of "Pyeonjeonjiseong(偏全之性)."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Kwak's theory of nature is that he interprets Pyeonjeonjiseong in the old category of physical nature by expanding it to original nature as well as distinguishing it from physical nature. Integrity and deviation, two opposite attributes of Ki, are physical concepts and, at the same time, have a value concept projected onto them. Kwak, however, merely uses them as physical concepts ontologically and does not put a value concept in them. As far as he is concerned, Pyeonjeonjiseong cannot be mentioned as physical nature to imply differences between good and evil even though it is nature related to Ki. In this aspect, he moves further to the stage of expanding Pyeonjeonjiseong to the original nature of innate goodness with moral implications. Of course, one cannot point to only Li in Pyeonjeonjiseong and call it original nature due to the relation of Li-Ki inseparable, immiscible. However, Kwak is characteristic to define original nature under the ontological condition of immiscible Li-Ki. He thus maintains that even animals have the Five Constant Virtues, which represent the specific content of original nature in addition to human beings. He distinguishes Pyeonjeonjiseong from physical nature and further expands it to original nature in order to verify the presence of innate goodness not separated from reality. That is, he does not neglect the need to define Pyeonjeonjiseong around Li containing the essential meanings of nature in his explanations about it while missing no realistic contexts of Ki beyond pointing to just Li and accordingly original nature. Kwak's Li-based theory of nature also agrees with the logic of the theory of "Mind is principle," which sees mind and nature as 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