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주디스 버틀러의 비폭력론을 중심으로 실천적인 비폭력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학교 안과 경계에서 벌어지는 폭력은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어 ‘학교폭력’이라는 단일한 개념 장에서는 충분히 논의되기 어렵다. 폭력에 대한 개인주의적·실증적 정의는 항상 그 외부를 만들어내고 특정 대상에대한 복수의 논리에 빠지기 쉽다. 주디스 버틀러는 폭력과 복수의 연쇄작용을 끊기 위해 폭력을 명명하는 권력을비판하며 폭력에 대항하는 기술로서 비폭력을 제안한다. 버틀러에 따르면, 폭력은 생명에게 애도를 차등적으로할당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효과이며 비폭력은 이에 대항하여 애도가치의 평등을 주장하는 활동이다. 비폭력은비공격적이고 수동적이라는 편견과는 달리, 비폭력을 실천하는 인간은 타인에 대한 사랑과 미움의 양가적 감정사이에서 갈등하는 존재이며 비폭력 실천 또한 능동적이고 전투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버틀러의 비폭력론을바탕으로 비폭력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해볼 수 있다. 첫째, 비폭력 교육은 폭력 근절이나 도덕성 함양과 같은 개인적 접근을 넘어서 애도가치·생명가치의 평등이라는 사회공동체적 목표를 추구할 수 있다. 둘째, 타인에 대한양가적 감정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상호의존성은 윤리적 실천을 개인의 덕목이나 역량으로 환원하는 도덕교육의대안적 원리로 이해될 수 있다. 셋째, 애도하기, 살아있음을 입증하기 등 평등에 참여하는 실천행위는 비폭력 교육의 방법론이 될 수 있다. 비폭력 교육은 폭력에 대응하고 평등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의 한 가지 지평을 제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practical nonviolence education, focusing on Judith Butler's theory of nonviolence. The concept of school violence is insufficient to encompass the diverse and complex violence that occurs inside and outside schools. Individualistic and empirical definitions of violence always have exceptions and can easily fall into the logic of revenge against specific targets. To stop the cycle of violence and revenge, Butler criticizes the power that defines violence and proposes nonviolence as a resistance technique. According to Butler, violence is the discriminatory distribution of mourning to life, and nonviolence is an activity that advocates the equality of mourning values. Contrary to the prejudiced view that nonviolence is non-aggressive and passive, humans who practice nonviolence struggle between ambivalent feelings of love and hate toward others, and the practice of nonviolence is also active and combative. Based on Butler's nonviolence theory, we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nonviolence education. First, nonviolence education can aim to equalize the values of mourning and life in a social approach that differs from individual approaches such as eradicating violence or cultivating morality. Second, ambivalence and interdependence can serve as an alternative principle to moral education that reduces ethics to individual morality or ability. Third, practices that participate in equality, such as mourning, proving that one is alive, etc., can constitute the methodology for nonviolence education. Nonviolence education can present a new horizon in education to resist violence and promote e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