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입체적인 시각에서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에 따른 하위 잠재집단의 존재 여부를 밝히고 나아가 잠재집단별 특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2021년 실시한 12차년도 ‘한국미디어패널조사’의 데이터 중 4년제 대학생 502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요인으로는 기술적 영역뿐만 아니라 사회 변화에 따라 더욱 주목받고 있는 인지적 영역, 사회적 영역이 포함되었다. 또한 PC 활용, 스마트기기 활용, 비판적 정보판단, 개인정보의식, SNS 참여 등의 측정 변인이 디지털 리터러시의 하위요인으로 사용되었다. 그 결과 대학생은 네 가지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는데, 잠재집단의 디지털 리터러시 하위요인의 수준은 모두 상이하였다. 이에 따른 특징을 반영하여 각 잠재집단을 ‘고수준 디지털 리터러시 집단’, ‘기계적 디지털 리터러시 집단’, ‘주체적 디지털 리터러시 집단’, ‘저수준 디지털 리터러시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도출된 잠재집단을 성별, 학년, 계열, 지역 등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성별을 제외한 학년, 계열, 지역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디지털 리터러시가 하나의 단일한 영역에 대한 역량이 아닌 다수 영역을 포괄하는 역량이며, 따라서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각 잠재집단의 디지털 리터러시 하위요인 수준 및 학습자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와 이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ypes of digital literacy among university students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er utilized Latent Profile Analysis and analyzed the answers of 502 university students in the ‘Korean Media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KISDI) in 2021. This study considers the technical dimensions of digital literacy and the cognitive and socio-cultural dimensions, which have gained increasing significance due to societal changes. Furthermore, this study considered the following variables as sub-factors of digital literacy: PC utilization, smart device utilization, critical information assessment, privacy awareness, and engagement in social media. As a result, university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profiles with different levels of digital literacy sub-factor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groups, they were labeled as the ‘High-Level Digital Literacy Group,’ ‘Mechanical Digital Literacy Group,’ ‘Proactive Digital Literacy Group,’ and ‘Low-Level Digital Literacy Group.’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differences in grade, major,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igital literacy profiles. This study suggests that a customized program that considers each profile’s level of digital literacy sub-factors and learner characteristics is necessary to improve undergraduate students’ digital literacy. Additionally, the researcher outlined the study’s limitations and discuss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