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에 나타난 인간에 대한 연민 사상을 스토아학파의 관용과 비교하고 아우구스티누스가 이해한 연민에 대해 논구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아우구스티누 스는 스토아의 연민에 대한 이해를 비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의 『신국론』 8.17, 9. 4–5 및 14. 8–9에서 스토아 사상과 아우구스티누스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었음을 발견할 수 있으 며, 동시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는 달리 스토아의 연민 이해 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발전시켰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과 세네카의 『관용론』을 중심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아우구스티누스의 연민, 정 의, 인간 존엄에 대한 이해 속에 스토아적 이해가 어떻게 전유되 거나 거부되었는지 확인할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아우구스티누 스의 연민에 대한 설명이 세네카의 자비 윤리에 결여된 내용을 기독교적으로 발전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Augustine compares the idea of compassion for humans in De civitate Dei with the Stoic’s tolerance and seeks to understand Augustine’s understanding of compassion. Augustine famously attacks the Stoic denigration of compassion in De Civitate Dei 9.5, and this comes as part of his larger en- gagement with the Stoic theory of affectivity in De Civitate Dei 8.17, 9.4–5, and 14.8–9. But it is rather difficult to tell just where he stands in relation to the Stoics, given that he employs Stoic criteria for evaluating emotions, as well as Stoic distinctions and definitions, while chastising the Stoics. For this purpose, we will centrally examine Augustine’s De Civitate Dei and Seneca’s On Clemency to see how Stoic under- standing was appropriated or rejected in Augustine’s under- standing of compassion, justice, and human dignity. Through this process, we will be able to confirm that Augustine’s explanation of compassion developed the content lacking in Seneca’s ethics of mercy in a Christian 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