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국내 시신기증절차를 경험한 유가족의 연구가 없는 실정에서 본 연구는 충북대학교 의과대학에 시신기증을 한 유가족 10가정을 대상으로 기증 당시의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유가족들은 내 가족의 시신을 기증하게 될 줄 몰랐다고 답하였으며 기증인의 오랜 설득에 동의하였고 유가족들의 종교 및 가치관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답하였다. 기증절차를 이행하는 당시에는 기증 시신의 상태를 확인하는 예상치 못한 질문에 당황하였고 시신 인도 절차와 장례가 겹쳐져 불편하였으며 기증절차가 순식간에 끝나서 허무하였다고 답하였다. 납골당 안치 후 유가족들은 기증인의 희생과 헌신을 기리며 사람들이 함께 기증인의 뜻을 기릴 수 있는 지원이 있기를 바랐으며, 본인 또한 이러한 뜻을 기리기 위해 본인의 시신을 기증할 의사가 있음을 밝혔다. 이전의 연구들을 통해 볼 때 충청북도의 시신기증 서약비율은 안정적인 수준에 올라있음을 알 수 있으나, 향후 서약한 기증 예정인이 실제 기증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기증에 대한 최종 의사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유가족에게 기증에 대한 인식의 제고와 시신기증 홍보 및 안내방안 그리고 이와 관련한 시신기증데이터의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축 등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Since there is no research on bereaved families who have experienced the body donation process in South Korea, this study phenomenologically analyzed the experiences of 10 bereaved families who donated their family body to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hese families revealed that although they did not initially intend to donate the remains of their loved ones, their decision was influenced by the deceased’s persistent persuasion and their own religious and value-based beliefs. During the donation process, they were taken aback by unexpected questions about the condition of the donor’s body, felt inconvenienced as the body handover process coincided with the funeral, and expressed a sense of emptiness as the donation process concluded in an instant. After the donation was completed, the bereaved family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donate their own body along with the donor’s, wanting to commemorate the donor’s sacrifice and dedication with many others. In order to enable those who have pledged to donate their bodies to actually donate their bodi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promote, and provide guidance to bereaved families and each university that has the final decision-making authority on donation. Additionally, an integrated body donation management system need to be esta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