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 부모의 온라인/모바일 게임 중재유형을 잠재계층분석으로 분류한 후, 각 유형을 예측하는 부모의 특성을 파악하고, 부모 중재유형이 초기 청소년의 미디어 사용 태도와 정서적 발달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전국 초등학교 4-6학년에 재학 중인 청소년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한 ‘청소년 미디어 이용 실태조사’의 데이터 중 학생과 보호자가 모두 응답한 2,125명의 자료를 분석에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적극적 중재형(50.6%)’, ‘소극적 중재형(7.3%)’, ‘제한적 중재형(19.4%)’, ‘공동이동 중재형(22.8%)’ 4개의 집단이 도출되었다. 둘째, 적극적 중재형은 여성 보호자, 높은 교육수준, 부모의 게임시간과 스마트폰 이용시간이 적은 경우에 해당되었으며, 제한적 중재형은 남성 보호자, 부모의 스마트폰 이용시간이 많은 경우에 해당되었다. 공동이용 중재형은 젊은 부모이고, 자녀에 대해 관심이 높은 부모이며, 부모의 게임시간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 해당되었다. 마지막으로, 소극적 중재형에 비해 적극적 중재형과 공동이용 중재형의 경우, 자녀의 게임시간과 스마트폰 이용 중독 정도, 게임 과몰입 정도가 유의미하게 낮았고, 생활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공동이용 중재형만이 청소년의 낮은 폭력허용도와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변화된 디지털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부모 중재유형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parental moderation types for adolescents’ online/mobile gaming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nd its influence on early adolescents’ media usage attitudes and emotional developments. To achieve this, data from the ‘Youth Media Usage Survey’ conducted in 2020 and targeting 2,215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4-6 nationwide along with their parent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ed in the identification of four latent groups of parental moderation types: Active moderation(50.6%), Passive moderation(7.3%), Restrictive moderation(19.4%), and Co-using moderation(22.8%).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active moderation was associated with female guardians, higher level of education, lower parental gaming time and smartphone usage. Restrictive moderation was characterized by male guardians and higher parental usage of smartphones. Co-using moderation is characterized by younger parents, high involvement with their children, and high game participation. Finally, the active and co-using modera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hildren’s lower gaming time, less addiction to smartphone use, lower overindulgence in games, and higher life satisfaction. Only the co-using moder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 lower level of adolescent tolerance for violence.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poses a parental moderation type suitable for the changed digital media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