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한국 SF에서 비인간 캐릭터들이 구현된 통해 현대 한국의 포스트휴머니즘이 나타나고 있는 맥락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특히 2010년대를 지나면서 한국에서 포스트휴머니즘과 SF에 대한 연구들이 개진되었던 맥락들을 살펴보고, 드러난 유의미한 지점들을 확장함과 더불어 현대적으로 재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로봇과 인공지능으로 대표되는 비인간 캐릭터들의 의미를 영화 <인류멸망보고서>(2011), <로봇소리>(2015), <간호중>(2020)과 같은 영화를 통해 살펴보고, 동물권과 친족(kin)으로 구성된 쑬루세의 세계를 영화 <고요의 바다>(2021)와 <옥자>(2017)를 통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비신체 캐릭터들의 의미에 대해 소설 <아르카디아에도 나는 있었다>(2020)와 <슈뢰딩거의 아이들>(2021)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의 SF 텍스트들이 그동안 인간들이 부여해왔던 ‘인간다움’이라는 것에 대한 새로운 경험과 인식의 장을 발견하고, 인간의 종적 우월성을 해체하면서 다양한 종들이 관계망 내에서 상호 횡단하는 존재로 자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장 보드리아르가 상상했던 세계의 구현 역시 구체적으로 형상화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한국 현대 SF에서 나타나는 비인간 캐릭터들의 의미는 현대의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을 구체화하고 그 다음의 맥락들로도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충분히 내포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 중요한 지점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모습들이 소설과 영상콘텐츠를 아우르면서 활발하게 발표되고 있다는 것을 통해 이후로도 한국의 SF 콘텐츠들이 가지고 있는 포스트휴머니즘적 의미와 확장하는 다양한 담론으로의 대응 가능성 역시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ntext of contemporary Korea’s posthumanism by examining the non-human characters in Korean science fiction. We focused on the domestic research on posthumanism and science fiction that has been conducted since the 2010s, thereby extending the existing literature the and shedding new light from a modern perspective. Accordingly, we explored the significance of non-human characters, represented by robot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films such as Doomsday Book (2011), SORI: Voice from the Heart (2015), and The Prayer (2020), while delving into the world of the Chthulucene, composed of animal rights and kinship through movies such as The Silent Sea (2021) and Okja (2017). Finally, the significance of non-corporeal characters was identified through books such as Et in Arcadia ego (2020) and Schrodinger’s Children (2021). The results revealed future directions for new experiences and perceptions about “being human,” granted by humans; the study confirms that diverse species are positioned as beings intersectionallytraversingin a network of relationships while deconstructing human superiority. We also confirmed that the world imagined by Jean Baudrillard is being realized concretely. This indicates that non-human characters in Korea’s contemporary science fiction have the potential for embodying critical posthumanism in a more specific way and expanding to other contexts. Notably, the frequent emergence of these characters across genres, including novels and video content, shows a positive sign that Korean science-fiction content has posthumanist significance and the potential to respond to an expanding variety of discour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