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한국어 사설과 영어 사설이 코로나 시기 리더 및 정부에 대한 판단을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어떻게 하고 있는가를 비교하여 관찰하고 이를 통해 각 집단이 어떠한 전략을 활용해 효과적으로 대중을 설득하고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사설은 리더 및 정부를 비판한 정도가 비교적 높은 시기를 기준으로 먼저 선별한 후, 이후 같은 시기 이들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한 사설을 수합하였다. 한국어 보수 및 진보, 영어 보수 및 진보 언론에서 8편씩 사설을 선별하고 Martin&White(2005)의 태도 평가를 통해 평가 대상과 평가 방식을 분석한 후 반 다이크의 이념적 사각형에 의해 각 집단이 활용한 독자 설득을 위한 전략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사설과 영어 사설의 필자가 각 집단이 처한 정치·사회적 상황에서 이데올로기에 따라 자신의 주장을 정당화하고 대중을 설득하기 위해 언어자원을 활용하고 있음을 보였다. 이는 코로나가 전세계적인 전염병이라는 사실에 근거해 언어문화 및 이데올로기와는 별개로 유사하게 나타나거나 언어문화에 따른 상이한 정치적, 사회적 상황 및 이데올로기라는 각 기준에 따라 유사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paper compares and observes how Korean and English-language newspaper editorials evaluated South Korean and American political leaders and administration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ight editorials were selected in each of categories (Korean liberal, Korean conservative, English liberal, English conservative) to contrast the different strategies used to influence their readers’ political leanings. The editorials, both positive and critical, were selected from periods when the degree of criticism of political leaders in each country was at their highest. The thirty two editorials were analyzed using Martin & White (2005)’s attitude evaluation, and their strategies for persuading their readers were analyzed by using Van Dyck’s ideological square. It concludes that publications in each of the four categories all used similar language methods in the area of ‘insecurity’, but for different reasons. The study also analyze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how publications in all four categories used evaluative language, which was dependent on the respective countries’ socio-political conditions at the time. Lastly, the study finds that all publications used polarizing methods in order to strongly persuade the ideological views and political leanings of their rea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