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직무만족은 조직학 연구에서 매우 많이 분석된 변수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이 분야 핵심 주제인 직무만족과 성과 간 인과관계 여부에 대해서 연구자들의 의견이 엇갈린다. 아울러, 대부분의 연구가 직무만족이 개인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반면에, 직무만족이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의 축적은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상기 논쟁을 해소하고 부족했던 부분을 메꾸고자, 본 연구는 직무만족-조직효과성 간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가운데, 맥락으로서 정책기능의 조절 효과 여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공무원들로부터 수집한 설문자료를 토대로 다중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공무원의 직무만족은 조직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기능의 조절 효과와 관련하여서는 규제, 분배, 그리고 스텝기능은 조직효과성에 대한 직무만족의 긍정적 효과를 ‘대체’(무력화)하는 것으로, 재분배기능은 직무만족의 긍정적 영향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의 정책적 함의, 즉 구성원이 담당하는 정책기능에 따른 직무만족의 전략적 관리 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본 논문이 갖는 가장 중요한 의미는 그동안 행정학계에서 간과되어 온 맥락으로서 정책기능을 직무만족-조직효과성 연구에 반영하였다는 점에 있다.


Job satisfaction is one of the most extensively analyzed variables in the field of organization theory. Nevertheless, researchers seem to have conflicting opinions on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actually exists. In addition, most of the studies on this subject hav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individual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relatively rare to test the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resolve the above-mentioned debate on the causality, and to fill the gap in the research subject. It examines model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t particularly account for job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roles of policy functions. This empirical research adopted quantitative data from survey questions administered in city hall and nine district governments in Seoul, Korea. The findings suggest that job satisfaction has a positive association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urthermore, policy functions can substitute or strengthen the positiv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That is, the regulatory, distributive, and staff functions substitute (or nullify) the positiv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ereas the redistributive function strengthens such an effect. This study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n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for practitio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