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코로나 19 이후 인사체계 전반에서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이 비교되면서 공직 침체 분위기가 가속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하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 공정성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전체 공무원을 관리자 직급과 비관리자 직급으로 나누어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조직몰입도에 유의하게 부(-)의 영향력을 미치며, 조직 내 공정성에 대한 인식은 이를 완화하는 기제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공무원 전체 및 비관리자 직급의 경우 분배공정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 사이에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관리자 직급의 경우 상호작용공정성이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극복과 조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로서 조직 내 공정성의 확보가 중요하며, 직급별로 다른 관리 기법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감소 및 조직효과성 제고를 위한 이론 및 조직 관리적 관점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empirically elucidates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public servants, aiming to deriv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or alleviating job stress and enhanc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results indicate that job stress significantly exerts a nega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can act as a mitigating mechanism. Distributive justice manifest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for the overall group of public servants and non-managerial ranks, while interactional justice exhibit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for managerial ranks. Th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securing organizational justice as a moderating variable positively influencing the alleviation of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mong public servants, with implications for the necessity of differentiated management strategies based on public servants’ rank. Overall,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al dynamics in the context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provides insights for practitioners seeking to improve job stress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thin public service set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