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누적적 이익-불이익 이론에 근거하여 독거노인의 생애전반에 걸친 성별 소득 격차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독거노인의 성별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득의 매개효 과를 PROCESS macro by Hayes(2013)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N=3,112).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거노인 남성이 여성에 비해 주관적 건강상태가 더 좋았다. 둘째, 독거노인 남성이 여성에 비해 소득이 더 높았다. 셋째, 독거노인의 남성이 여성에 비해 주관적 건강상태가 더 좋았는데, 이 둘 간의 관계를 소득이 매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를 토대로 사회경제적 격차가 건강 격차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정책적 보장에 대해 제언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gender-based income disparities throughout the early life course of elderly individuals on their health, based on cumulative advantage-disadvantage theory. To this end,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2020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to analyze, through the PROCESS macro by Hayes (2013), the mediating effect of income on the influence of gender on subjective health status among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N=3,112). The summarized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elderly men living alone had better subjective health status compared to women. Second, elderly men living alone had higher incomes compared to women. Thirdly, elderly men living alone had better subjective health status compared to women, and incom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olicy recommendations were made to ensure that socioeconomic disparities do not lead to health dispar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