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회적 위기에 대해 개인의 공동체적 책임과 공과를 공유하는 심리적 기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는 특히 사회적 정체성이 확립되는 시기인 청소년기에 주목하여 주변의 맥락, 개인 내적인 변인, 그리고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2018년 아동종합실태조사의 만 12세 ~ 만 17세 청소년(남 900명, 여 772명)과 그 부모(부 203명, 모 1,469명), 총 1,672쌍을 대상으로 SPSS 26.0 및 PROCESS macro version 4.0의 Model 6를 이용하여 순차적 매개효과 분석 및 부트스트래핑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효능감이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이 유의했다. 둘째, 부모효능감과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간의 관계에서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관계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했다. 즉 부모가 효능감을 느낄 때, 청소년은 가족관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며, 자아존중감을 통해 높은 수준의 공동체의식으로 이어진다. 이는 청소년 공동체의식의 함양을 위해 부모효능감을 증진하는 개입과 청소년의 일차적 주변환경인 가족과 그들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지원책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Social crises, such as the global climate crisis,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dividuals’ psychological mechanisms of responsibility for the community or shared merits and demeri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xt around adolescents, their internal variables, and the sense of community in adolescence when social identity is established. A total of 1,672 pairs of adolescents aged 12 to 17 years (M = 14.95, 900 males, 772 females) and their parents (203 fathers, 1,469 mothers) from the National Survey on Children in Kore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PROCESS macro to conduct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analysis and bootstrapping tests. First, the direct impact of parenting efficacy on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was significant. Secon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adolescents' perceived family relationships and adolescents' self-esteem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efficacy and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were significant. In other words, when parents feel efficacy, adolescents perceive family relationships positively, and self-esteem leads to a higher level of sense of community.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interventions that promote parenting efficacy, support adolescents’ primary environments, which are their families, and boost their self-esteem to foster a sense of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