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할린 지역과 한인동포, 그리고 그들을 바라보는 국가 간 서로 다른 시선과 입장의 차이는 해방 이후 오랜 시간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제대로 정립되지 못한 채, 남겨진 우리들에게 아픈 상처와 수많은 과제들을 남겨 놓고 있다. 해방 이후 해결될 것으로 기대되던 사할린 관련 제 문제들은 공전할 뿐 좀처럼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미궁과 같은 상황 속으로 계속 빠져들었다. 그 이유로는 주변 국가 간의 복잡한 이해관계, 지속적인 이데올로기의 대립 구도, 관련 당사국의 의도된 정치적 계산, 안정되지 못한 경제 등 여러 가지 상황을 들 수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해방 이전부터 비롯된 한국과 일본, 소련 정부의 방임과 무책임, 비협조가 해방 이후에도 이어지며, 지켜주지 못한 국가와 전후 반성하지 않는 국가와 방관하는 국가가 현재까지 남긴 상흔과 과제들의 무게를 살펴볼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생산 외교문서 사례를 통하여 사할린 지역과 관련된 문제 중에서도 사할린 한인동포 귀환문제를 중심으로 주변 당사국의 움직임을 비롯한 한국과 일본, 소련 정부의 대응 방식과 상반된 인식을 살펴보며 궁극적으로 국가의 의미에 대하여 생각해 보았다.


Despite the fact that a long time has passed since liberation, the differences in views and positions between the Sakhalin region, Koreans, and the countries that look at them still remain unestablished, leaving us with painful scars and numerous challenges. My Sakhalin-related problems, which were expected to be resolved after liberation, remained idle, rarely finding a clue to the solution, and continued to slip into a mysterious situation. There are various circumstances, such as complex interests between neighboring countries, continuous ideological confrontation, the intended political calculation of the parties involved, and the unstable economy. However, above all, the neglect, irresponsibility, and non-cooperation of the Korean, Japanese, and Soviet governments that originated before liberation continued after liberation, and the weight of the scars and tasks left by the countries that failed to be observed, the countries that did not reflect on after the war, and the countries that remained on the sidelines were able to examine the weight of the wounds and tasks left to this day. Therefore, through the case of diplomatic documents produced by Korea, we ultimately thought about the meaning of the country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of the governments of Korea, Japan, and the Soviet Union, including the movements of neighboring countries, focusing on the return of Korean-Americans in Sakhalin.


サハリン地域と韓人同胞、そして彼らを眺める国家間の異なる視線と立場の違いは、解放以後長い時間が経ったにもかかわらず、まだまともに確立されていないまま、残された私たちに痛い傷と数多くの課題を残している。解放後、解決されるものと期待されていたサハリン関連諸問題は空転するだけで、なかなか解決の糸口を見出すことができず、迷宮のような状況に陥り続けた。その理由としては、周辺国家間の複雑な利害関係、持続的なイデオロギーの対立構図、関連当事国の意図された政治的計算、安定していない経済など様々な状況が挙げられる。だが、何よりも解放以前から始まった韓国と日本、ソ連政府の放任と無責任、非協力が解放以後も続き、守れなかった国家と戦後反省しない国家と傍観する国家が現在まで残した傷痕と課題の重さを調べ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なった。 そこで本稿では、韓国生産の外交文書の事例を通じて、サハリン地域と関連した問題の中でも、サハリン韓人同胞の帰還問題を中心に周辺当事国の動きをはじめとする韓国と日本、ソ連政府の対応方式と相反する認識を調べ、究極的に国家の意味について考え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