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本論は芥川龍之介の「奇怪な再会」を「境界」をキーワードにして読んだものである。民俗学でもよく知られている通り、境界というのは、「内/外」、や「生/死」、「現世/他界」などといった「二つの世界の間」のことである。そこは日常生活とは異なり、多義性を含んだ特殊な所であり、新しい価値の統合などを生み出す場所ともされている。 さて、ヒロインの発狂を描いた「奇怪な再会」も「正気/狂気」の境界をはじめ、話を語り伝える様々な人達の「嘘/事実」の境界、物語が展開される「年末/正月」という境界、舞台となる「本所」という場所のもつ境界など、様々なところに「境界」のモチーフを見出すことが出来る。もちろん、最終的に発狂していくヒロインのお蓮も同様である。中国人でありながら、日本人の格好をさせられるという民族的アイデンティティの境界(中国人/日本人)、行方不明の恋人の「死/生」のあわいで悩み続ける境界、ほか「常態/変態」なの境界など――ヒロインのお蓮もまた境界にいるといってよい。このような「奇怪な再会」は境界をめぐる物語なのである。


This article discusses Ryunosuke Akutagawa’s Kikai na saikai (strange reunion), using kyokai (border) as the keyword. As is well known in folklore studies, a border is the space between two worlds, as in the cases of “inside and outside”, “life and death,” and “this world and the other world.” Unlike the realm of daily life, it is a special place with multiple meanings where new values are integrated. The border motif appears in various places in Kikai na saika, which depict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heroine becomes insane. There are borders between “sanity and insanity,” between the “falsehood and truth” of the various story tellers, and between “the year-end and the New Year” when the story takes place. There is also a border at the place called “Honjo,” the scene of the story. The same is true of Oren, the heroine who eventually loses her mind. There is a border between two ethnic identities (Chinese and Japanese), as Oren is forced to dress like a Japanese woman even though she is Chinese, as well as a border between life and death, as she is troubled by the unknown whereabouts of her lover. In addition, there is a border between the normal and abnormal. Oren lives on such borders.And the “strange reunion”is a story of boundaries.


본론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기괴한 재회(奇怪な再会)」(초출「오사카 마이니치 신문(大阪毎日新聞)」1921년1월5일〜2월 2일)를 ‘경계’라는 키워드로 읽은 것이다. 민속학에서도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경계란 ‘안/밖’, 일상생활과는 다르고 다의성을 내포한 특수한 곳으로서 새로운 가치 통합을 만들어내는 장소로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주인공의 발광적 행동을 그린 「기괴한 재회」도 ‘정기/광기(正気/狂気)’의 경계를 시작으로, 이야기를 전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거짓/사실’의 경계, 이야기가 전개되는 ‘연말/정월’이라는 경계, 그리고 무대가 되는 ‘혼조’라는 장소가 지닌 경계 등 다양한 곳에서 ‘경계’의 모티프를 찾아낼 수 있다. 물론 최종적으로 미쳐가는 주인공 오렌도 마찬가지다. 중국인이면서 일본인같은 행색을 하게 된 민족적 아이덴티티의 경계(중국인/일본인),행방불명이 된 연인의 ‘죽음과 삶’의 틈에서 계속해서 고민하는 경계, 그 밖에 ‘상태/변태(常態/変態)’ 의 경계 등―주인공 오렌도 또한 경계에 있다고 해도 좋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들을 근거로 하여 오렌이 발광에 이르는 경위를 고찰하면 오렌의 광기는 ‘행방불명 상태에 있는 연인을 만나고 싶다’는 마음 속 ‘억압’이 발단이 되어 그 후 계속해서 연인을 생각하는 자기최면과 같은 상태에 빠져간다. 최면상태는 ‘상태/변태’의 경계에 위치하는 특수한 심리상태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심리상태(경계상태)로 변해가는 도중에, 사실(정기)와 망상(광기)의 주종관계의 역전을 일으켜 미쳐가고 만다. 즉「기괴한 재회」는 경계를 둘러싼 이야기인 것이다.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border, madness, narrative, realm that is neither truth nor fiction, hypn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