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에서는 일본에서 학술용어로 개념규정이 불안정한 '설화'라는 갈래에 관해 기존의 연구방법론을 검토하면서 전승성과 허구성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켜 여러 장르 속에서 다양한 표현양식으로 생성된 옛 ‘이야기’들을 분석하기 위한 시좌를 구성했다. 본론에서 제시한 세 가지 시좌의 입각점은 동시대 세태에 관한 사건들을 기록하고 문예로 표현하는 전승 행위(텍스트 생산)에 있어 선행하는 ‘범인간적 흥미와 보편성의 화제'인 '고토'를 어떻게 재인식하고 <전승의 상상력>을 어떻게 활성화하여 당대의 '문제적 자화상'을 형성시켰는지 탐구하는 것이었다. 생성된 이야기가 표현의 층위(의미의 재현체계)를 어떻게 새롭게 획득하는지 파악하는 것에 주안을 두고, 한 도막의 이야기를 하나의 담론적 실천으로 간주해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는 ‘전승의 상상력-표현의 층위(가능성)-사회적 담론실천’이 서로 어떻게 상관하고 있는지를 규명하는 작업이다. 이런 관점에서 󰡔명녀정비(名女情比)󰡕와 󰡔색도대경(色道大鏡)󰡕에 수록된 구모이의 신주사건이 이질적 매체 속에서 어떻게 항설로 되었는지 소묘했다. 또 󰡔제염대감(諸艶大鑑)󰡕 권7의 제4화「버려진 종이를 실마리로 찾은 상념의 숙소(反古尋て思ひの中宿)」를 예로 들어, 와카와『다케토리 이야기(竹取物語)』및『이세 이야기(伊勢物語)』등 아문맥(雅文脈) 속에서 세련되어 온 <전승의 상상력>이 동시대 유곽 놀이에 관한 지식/정보와 어떻게 상관하며 이야기가 생성되는지를 밝혔다. 이로써 애초에 이야기가 지닌 매력을 부각(浮刻)하였다.


This study reviewed the methodology of researchi on the nature of the genre "tale“ which has unstable conceptual reference as an academic term,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transmission and fiction and develop a research perspective to analyze texts created by various expressions. The three research methods presented in the text are intended to explore how to reacknowledge the “KOTO(こと)” related to the “topic of pan-human interest and universality” that records events related to contemporary customs and social conditions and expresses them as literature. A story based on contemporary events should be analyzed as a rhetorical practice in terms of the response to and recognition or reinterpretation of the preceding expression, focusing mainly on how the generated story acquired it’s layers (possibilities). It will be a task to determine how the imagination of transmission, stratification of expression (possibility), and speech practices are related.


この論文では学術用語として概念規定が不安定な「説話」というジャンルの性格について既存の研究方法論を検討しつつ<伝承性>と<虚構性>に対する理解を深め、様々なジャンルの中で多様な表現様式によって生まれたテキストを分析するための研究上の視座を構成しようとした。本論で提示した3つの研究方法上の方法を貫いているのは、当代の風俗世態に関する出来事を記録し文芸として表現する伝承行為において、先行の「汎人間的興味と普遍性の話題」すなわち<こと>をどのように再認識し<伝承の想像力>をどのように活性化して「問題的自画像」を形成させたのかを探求することである。生成する物語が表現の層位(可能性)をどのように獲得していったかを把握することに主眼を置き、先行文芸に対する再認識/再解釈行為という営為から、同時代の出来事/思考に基づいて作られた一つの物語を一つの言説的実践と見なして分析する必要がある。このような観点から具体的な事例として『明女情比』と『色道大鏡』に収録された’雲井’の心中事件に対する叙述がどのような情報を採択し物語化していったかを素描した。また『諸艶大鑑』巻7之4「反古尋て思ひの中宿」を例に挙げ、当時の遊郭遊びについての知識情報と『竹取物語』や『伊勢物語』などいわゆる雅文脈』の中で洗練されてきた<伝承の想像力>とが遊郭文化を批評するのにどのように機能していたかを明らかにした。話の生成過程を一端を究明することにより、そもそもこの話の備えていた魅力を浮き彫りにし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