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의사표시의 효력은 그 표시가 수령자에게 도달했느냐의 여부에 의존하게 되는데, 우리 민법은 ‘도달주의’를 원칙으로 정하고 있다. 표의자로부터 표시수령자로 이어지는 표시의 전달과정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그러한 오류에 대한 위험을 표의자 또는 표시수령자 중 누가 부담할 것인가라는 의문이 생기게 된다. 적절한 위험분배를 위해서는 의사표시의 효력발생을 위한 시점이 이익형량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하고, 특히 수령을 요하는 의사표시에서는 표시수령자가 최소한 의사표시를 인식할 수 있는 정도가 되었을 때에 그 표시의 효력이 발생한다. 표의자와 표시수령자 사이에서 위험이전의 시점은 표의자의 발신과 수령자의 인식 사이에 위치한다. 표시가 일단 표시수령자의 영역으로 들어가면, 표의자는 수령자의 인식에 어떠한 영향도 끼치지 못하는 반면에 수령자는 통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 따라서 의사표시의 ‘도달이론’은 표시수령자에게 도달되었는가의 여부에 맞추어져 있고, 이러한 내용을 따르고 있는 독일민법이나 우리 민법의 입장에서도 표시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 원칙적으로 표의자의 책임으로 된다. 의사표시의 효력발생을 위해서는 표시가 수령자의 영역으로 들어가고 그가 인식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족하다. 오늘날에는 E-Mail, Internet-Messenger, Social Media Plattformen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자동화된 시스템에 의해 점점 많은 의사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의사표시의 효력발생을 위한 기본원칙이 적용되는 것은 동일하다. 본 논문에서는 의사표시의 도달과 관련하여 독일민법에서 전개되어 온 논의를 정리하고, 특히 다양한 유형의 사례를 다루고 있는 독일의 판결들을 소개함으로써, 의사표시의 도달에 대한 위험을 누구에게 부담시키는 것이 적절한가의 문제와 관련하여 우리 민법의 해석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Now is the Era of Information Society, ‘Declaration of intention’ (Willenserklärung) is also changing from form of traditional paper document to electronic document. So we are thrown into the big challenge of new Era also in legal theory and legislations including Judicial Judgement. Electronic Declaration of intention equals with natural Declaration of intention. We shall follow the ‘arrival rule’ when is started to take effect for Electronic Declaration of intention, because it is very similar to deals or transactions between parties in talking. An Electronic Declaration of intention shall be deemed sent at the time the electronic document is entered into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hrough which an addressee or his/her agent may receive the electronic document. After all we shall amend ‘Civil Act’ article 111 so that we can make the time for effect of Electronic Declaration intention clear. As Declaration of intention is changing from paper form to electronic form.


Die Willenserklärung ist als die private Äußerung eines auf Rechtserfolg gerichteten Willens definiert worden. Auf dem Weg der Erklärung vom Erklärenden zum Erklärungsempfänger können sich Fehler einschleichen. Hier stellt sich die Frage, ob die Gefahr für solche Fehler vom Erklärenden oder vom Erklärungsempfänger getragen werden soll. Zur gerechten Risikoverteilung muss ein Zeitpunkt für das Wirksamwerden der Willenserklärung aufgrund einer Interessenabwägung bestimmt werden. Der Zeitpunkt des Gefahrübergangs zwischen Absendung und Kenntnisnahme liegen. Wenn die Erklärung in die Herrschaftssphäre des Erklärungsempfängers gelangt, hat dieser in der Regel die Möglichkeit der Kenntnisnahme, während der Erklärende keinen Einfluss darauf hat, dass der Empfänger die Erklärung zur Kenntnis nimmt. Deshalb stellte die Zugangtheorie auf den Empfang oder Zugang beim Erklärungsempfänger ab. Dem ist das BGB gefolt, weil damit interessengemäße Ergebnisse erzielt werden. Da danach die Äußerung oder Absendung für die Wirksamkeit der empfangsbedürftigen Erklärung nicht ausreicht, geht der Verlust der brieflichen Erklärung auf dem Wege zum Empfänger zulasten des Erklären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