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전통춤에서 가시적인 움직임 분석방법론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매방 살풀이를 사례로 전통춤에서 정신적 원류 요소의 출현 여부와 함의를 살펴보았다. 한 사상과 천지인 사상, 태극도설 등 전통사상에 내재된 ‘일즉삼 삼즉일’ 원리 관련, 가시적인 동시성과 순환성 요소의 출현을 확인했으며 이러한 확인 기준으로 움직임의 동작소를 굴신, 좌우세, 부앙, 삼절법으로 제안하였다. 여기서 동시성은 항상성과 전일성을 내포한 1개의 덩어리로 한(하나) 사상을 의미하고, 춤사위에서의 순환은 기본적으로 음과 양의 움직임에서 가시적으로 나타난다. 이들 관계는 한 사상에서 ‘하나의 개념’이라 하면서도 ‘양의’와 ‘중’을 포함한 것이 전일성 개념이고, ‘일즉삼, 삼즉일’ 측면에서 하나이면서 셋이라 할 수 있다. 춤사위에는 동시성과 순환성을 포함한 춤의 원리가 있기에 오묘하게 맞물리는 형태로 보이게 되며, 이는 다시 동시성과 순환성의 묘합이 춤사위 특징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움직임은 이매방류 살풀이춤에서 더욱 드러나는데, 본 연구는 전통춤 전문가 3인에게 동작별, 항목별로 이매방 살풀이춤의 동시성과 순환성 유무를 확인하고, 이후 살풀이춤 전문가 3인에게 동작소의 재구성과 춤사위에서의 적용에 관한 인터뷰를 하였다. 그 결과, 잉아걸이, 좌우걸이, 앞에 뿌려쳐 동작, 연풍대에서 굴신의 경우, 평가자 모두 동시성과 순환성이 있다고 했고, 좌우세의 경우, 잉아걸이 부분에서만 동시성과 순환성이 덜 나타나고 나머지 동작에서는 모두 나타났다. 반면, 부앙의 경우, 앞뿌려 동작에서 동시성과 순환성이 모두 나타났고, 나머지는 덜 나타나거나 거의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그간 다소 모호하였던 전통춤의 움직임 분석에 하나의 틀로서 전문가 평가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동시성 부분에서 부앙에 일부 나타나고 있는 점을 전일적이고 통체적으로 볼 수 있는지는 해석과 재고의 여지가 있다.


To create a basic methodology for the analysis of visible movements in traditional dance, this study evaluated the emergence of spiritual source elements and analyzed the implications, focusing on the case of the Lee Mae-Bang salpuri. For example, the emergence of simultaneity and circularity was confirmed in relation to the principle of samil in traditional ideas such as Han thought, cheonjiin, and taegeuk doseol. With this standard setting, the dance motion gestures were proposed by dividing them into gulshin, jwausese, buang, and samjeolbeob. During this study, three experts in salpuri were interviewed about the reconstruction of gestures and their application in dance movements, and the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imultaneity and circularity was measured for each movement and item by three other experts. As a result, all evaluators said that simultaneity and circularity appeared in gulshin in four motions, ing-a geoli, jwa-u geoli, ape-ppu-lyeo-chyeo, and yeonpoongdae, Also, jwause’s simultaneity and circularity were less pronounced only in the ing-a geoli dance part and appeared in all the other movements. But simultaneity and circularity appeared only in ape in the buang, and fewer or almost none of the others. The meaning of this simultaneity is thought to be one mass that includes homeostasis and wholeness. And the circulation in dance moves is basically visible in the movements of yin and yang. Their relationship is said to be one concept in one ideology, but the concept of wholeness includes positive and medium. In terms of one to three or three to one, it can be said to be one and three at the same time. These dance movements have dance principles, including simultaneity and circulation, and appear to be intertwined. In other words, the combination of simultaneity and circularity appears as a characteristic of the dance movements, and these movements are well displayed in the Lee Mae-Bang salpuri dance. Considering these results, this frame can be used as an expert evaluation method in the field of movement analysis of traditional dance where there is ambiguity. However, there is still room for interpretation and reconsideration as to whether some of the points that appear in Buang in simultaneity can be seen as wholeness and 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