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사랑이라는 복잡한 관계를 탐구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우리는 인간 사이의 관계가 기반이 되며, 관계를 가능하게 만들기 때문에 다른 종도 사랑할 수 있다고 생각 해 왔다. 그러나 이종간에 이루어지는 관계, 예를 들면 인간이 개나 고양이와 맺는 관계 에서 개별성이 불분명해지고 그럼으로써 보다 원초적인 형태의 사랑에 가까워진다. 이 렇듯 가장 순수한 형태의 사랑은 생물학적 특성이나 고유한 정체성과 무관하게 서로 다 른 종의 개체 사이의 종간 관계에서 비롯된다. 이로부터 우리의 사랑에 대한 이해와 경 험을 변형시키는 ‘행성성애학’으로서 생태학의 새로운 가능성이 열린다.


This paper begins by exploring some historical literature, including fairy tales, on “love” and debunks its most popular idea as a purely natural and spontaneous relationship between humans. It then shifts focus to human relationships with animals, particularly companion animals like dogs and cats. The paper argues that the human-animal bond diminishes one's individuality or identity, enabling the experience of affection in its truest sense, which is a deep, interconnected love between beings. It concludes that interspecies relationships exemplify love in its purest form, transcending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ncompassing all species on Earth, including the planet itself. The paper suggests the necessity of reimagining ecology as “planetary erotics” to gain a fresh perspective on our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