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에서 우리는 현대 프랑스 마르크스주의를 루이 알튀세르 이후의 포스트-마르크스주의의 견지에서 재서술한다. 서론에서는 현대 프랑스 마르크스주의를 알튀세르의 철학적이고 마르크스주의적인 유산을 중심으로 재서술하는 시도에 대한 정당화를 제시하고 알튀세르의 진정한, 하지만 서로 길항하는 두 명의 제자 에티엔 발리바르와 자크 비데를 배타적으로 다룸으로써 포스트-알튀세르적 마르크스주의를 재서술하는 시도에 대한 정당화 를 제시한다. 본론의 첫 번째 부분에서는 알튀세르의 현대 사상사적 독특성, 즉 알튀세르가 정통 마르크스주의를 개조하고 전화하려고 한 서방 마르크스주의자임과 동시에 현대 프랑스철학 그리고 프랑스 역사인식론 내의 (포스트-)구조주의자라는 점을 해명한다. 본 론의 두 번째 부분에서는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론의 핵심을 검출하고 이러한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론의 논리적 결론이 마르크스주의의 해체라는 점을 규명한 뒤, 이러한 알튀세 르의 이데올로기론을 발본화해 이를 극한으로까지 밀어붙여 마르크스주의의 해체에까지 도달하는 발리바르의 사유 행보를 재서술한다. 본론의 세 번째 부분에서는 알튀세르에게 서 발리바르에게로 이어지는 이데올로기론의 계승과 발전의, 그리고 마르크스주의 해체 기획의 분기점으로서 발리바르의 물신숭배론 재해석 기획을 다룬 뒤, 발리바르와 함께 그리고 발리바르에 반해 물신숭배론을 취함으로써 재구성되는 비데의 메타구조론적 마르크 스주의, 즉 메타-마르크스주의를 다룬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알튀세르-발리바르-비데의 포스트-마르크스주의 삼각형이 현대 프랑스 마르크스주의뿐만 아니라 포스트-마르크스주의 일반에 던지는 질문을 발리바르의 ‘마르크스의 두 가지 발견’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정식화한다.


In the present study, we redescribe contemporary French Marxism by engaging with post-Marxism after Louis Althusser. In the introduction, we justify the attempt to redescribe contemporary French Marxism centering on Althusser’s philosophical and Marxist legacy and the attempt to redescribe post-Althusserian Marxism by exclusively treating Althusser’s true yet mutually opposing heirs, Étienne Balibar and Jacques Bidet. In the first section, we identify Althusser’s unique position with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thought, which is that he is simultaneously a Western Marxist who attempted to renew and transform orthodox Marxism and a (post-) structuralist within the tradition of contemporary French philosophy and French historical epistemology. In the second section, we excavate the core of Althusser’s theory of ideology, identify its logical conclusion as the deconstruction of Marxism, and redescribe Balibar’s approach towards the deconstruction of Marxism by means of radicalizing Althusser’s theory of ideology to the extreme. In the third section, we examine Balibar’s project of reinterpreting the theory of fetishism as a point of divergence not only in the process of inheriting and developing the theory of ideology from Althusser to Balibar but also in the project of deconstructing Marxism. Then, we analyze Bidet’s meta-structural Marxism, i.e. meta-Marxism, which is reconstructed by adopting the theory of fetishism with and against Balibar. In the conclusion, focusing on Balibar’s discussion of ‘Marx’s two discoveries’, we formulate the question that the post-Marxist triangle of Althusser-Balibar- Bidet poses not only to contemporary French Marxism but also to post- Marxism in gener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