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전통시대 강원도의 중심 도시가 아니었던 춘천이 근대 시기에 들어와 강원도의 수부도시가 되는 과정을 살펴본 연구이다. 춘천은 19세기 말 정치적 격변 속에서 군사도시로 발전했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두 차례 지방제도 개편 과정에서 강원도의 수부도시가 되었다. 그러나 춘천은 교통 환경이 열악하여 일제강점기 강원도 수부도시의 지위를 위협받았다. 경원선 정차역이 입지하여 철도교통의 요지가 된 철원은 지속적으로 도청 이전 운동을 전개했다. 춘천의 수부도시 지위는 1930년대 경성과 춘천을 연결하는 경춘선이 개통되면서 안정되었다. 경춘선 개통과 춘천의 수부도시 지위 안정화는 일제의 국책과 지역민의 열망이 결합된 결과였다. 이는 일제강점기 지방도시 성쇠의 한 경로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Chuncheon, which was not the central city of Gangwon-do in the traditional period, becoming the central city in Gangwon-do in the modern period. Chuncheon developed into a military city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mid political upheaval. And based on this, it became the central city in Gangwon-do in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local system twice. However, Chuncheon's poor traffic environment threatened its status as the central city in Gangwon-do, Japanese colonial era. Cheolwon, which became the main point of railway transportation due to the location of the Gyeongwon Line stop station, continued to carry out the provincial government relocation campaign. Chuncheon's status as a sub-city stabilized in the 1930s with the opening of the Gyeongchun Line connecting Gyeongseong and Chuncheon. The opening of the Gyeongchun Line and the stabilization of Chuncheon's status as the central city were the result of a combination of Japanese national policy and local people's aspirations. This is an example of the path of the rise and fall of local cities in Japanese colonial 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