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본 연구는 감사품질관리 업무 비중과 기업의 재무제표 비교가능성 간의 관련성을 검증한다. 특히 2019년 주식회사등의외부감사에관한법률(이하 신외부감사법) 시행을 계기로 강화된 품질관리업무로 기업 간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이 제고되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연구방법]2014년부터 공시된 외부감사 실시 시간 자료에 있는 품질관리담당자 감사투입시간 자료와 DeFranco et al.(2011)과 Jayaraman and Verdi(2014)에서 제시한 개념에 기반을 둔 재무제표 비교가능성 수치를 활용한 다변량 분석기법을 이용한다. 특히 신외부감사법이 시행된 전과 후에 품질관리담당자의 감사투입시간 비중이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에 유의미한 관련성을 가지는지 분석한다. [연구결과]분석 결과, 전체 감사투입시간 중 품질관리담당자의 투입시간 비중이 높으면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와 같은 효과는 신외부감사법 시행 이후 시기에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적 시사점]본 연구는 품질관리담당자의 업무 투입시간이 회계정보의 질적 특성, 특히 비교가능성을 높이는데 기여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신외부감사법 시행에 맞춰 도입된 감사인등록제도에서 품질관리담당 업무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제도의 실효성 여부에 대한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Purpose]This study tes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ortion of internal audit quality & risk management (QRM) and the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Also, this study empirically tests whether new external audit act which emphasizes the role of QRM enhances the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Methodology]This study uses 11,703 firm-year sample (7,144 balanced panel firm-year sample) with data on external audit hours by role and position from 2014 to 2022 to test the association with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measured following DeFranco et al. (2011) and Jayaraman and Verdi (2014). [Findings]The test finds that weight of QRM efforts shows positive relation with the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Moreover, the test shows that new external audit act enha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ight of QRM efforts and the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Policy Implications]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extant literature by directly showing that the role of QRM and the effect of new external audit act on the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