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고등학교의 가나(仮名)교육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경우, 교과서만 사용하여 가나교육을 실시하는 교사보다 자체 제작한 자료나 영상 등을 함께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가나지도는 히라가나를 우선 지도하고 가타카나를 지도하고 있으며 히라가나는 3∼4차시로, 가타카나는 1∼2차시로 지도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지도 방법은 판서를 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가나학습후 교사가 인식하는 학습자의 습득 정도는 51∼70%라고 생각하는 교사가 가장 많았다. 학생의 경우, 히라가나를우선 학습하고 가타카나를 학습하고 있으며 히라가나와 가타카나 모두 1∼2시간 학습하는 경우가 많아 학습 시간이 부족했다. 학생이 학습하기 어려워하는 글자는 교사가 지도하기 어려워하는 글자와 일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상이한 경우도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도 많은 글자들이 비슷하여 혼동된다는이유가 많았으며 그림을 통한 연상학습법을 선호하고 있었다. 가나학습 후 가나습득 정도는 학습경험 여부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나, 학습경험이 있는 학생은 히라가나와 가타카나 모두를 알고 있다고 응답한 학생이 가장많았으나, 학습경험이 없는 학생은 히라가나만 알고 있다고 응답한 학생이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서에 가나교육에 필요한 자료를 추가하고 디지털 영상자료 및 온라인 수업도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In this paper, a survey was conducted on teachers and students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e of Kana (仮名) education in high schools. Result shows that teachers who conduct Kana education often use their self-made teaching materials or video materials in addition to textbooks. On Kana instruction, Hiragana is taught first and then Katakana is taught. Hiragana is taught in 3-4 sessions and Katakana in 1-2 sessions. Various methods of instruction are used, but writing on chalkboard was mostly used. After teaching Kana, a majority of teachers thought that the learner’s degree of acquisition was 51-70%. In the case of students, they learned Hiragana first and then learned Katakana. Both Hiragana and Katakana are often studied for 1-2 hours, so the learning time was very short. Sometimes, letters that students find difficult to learn correspond to letters that teachers find difficult to teach, but a number of different cases are also included. Learning is difficult because many letters are similar and confusing. Students prefer the associative learning method through pictures. After learning Kana, the degree of acquisition in Kana differs depending on whether students have experience of learning it or not. Therefore, the students with learning experience knew both Hiragana and Katakana, but the students without learning experience said they only knew Hiragana. Based on the above results, necessary materials for Kana education were added to the textbook. Also, the necessity of digital video materials and online teaching tools was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