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의 혈액사업을 다룬 기존 연구는 대부분 본격적인 수혈의 시작을 한국전쟁 시기로 본다. 한국전쟁 때 미군에 의해 수혈과 관련된 기술, 장비, 인력이 도입되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과학적인’ 수혈요법은 조선총독부 의원 외과에서 근무하던 기리하라 신이치를 통해 식민지 시기에 도입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수혈은 해방 이전 식민지 조선에서 이미 환자들의 치료법으로 사용된 바 있다. 식민지 조선에서 사람들은 수혈보다는 채혈에 거부감을 드러냈고, 의사들은수혈에 필요한 혈액을 모으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수혈에 필요한 혈액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매혈이 대책으로 등장했으며, 급혈자협회의 조직으로 매혈은 제도화 되었다. 경성의학전문학교 부속의원에서는 경성급혈자협회를 조직하고, 보수와 절차를 명시하여 급혈자를 모집했다. 혈액의 매매에도 불구하고, 경성급혈자협회는 취의를 통해 급혈이 숭고한 봉사라는 점을 강조했다. 매혈은 그자체로는 미담이 아니었지만, 혈액의 부족과 수혈 ‘기술’의 특성은 숭고한 매혈을가능하게 했다. 식민지 시기 매혈이 아닌, 즉 대가 없이 피를 주는 일은 “독지의 급혈”이라고 불렸다. 독지의 급혈이 아닌 ‘헌혈’은 구체적으로 피의 헌납(獻納)을 뜻했다. 헌납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헌혈의 가능성은 전쟁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중일전쟁 발발 이후 황군을 위한 헌혈운동이 여러 곳에서 일어났고, 공습의 위험이 본격화하자 혈액은 총후에서도 중요한 국가적 자원이 되었다. 혈액형 검사가 공습대책으로 제시되어, 총독부는 위급상황에 피를 주고받기 위해 혈액형을 지니고 다니도록 요구했다. 이처럼 헌혈은 매혈과 달리 전쟁과 국가를 통해 숭고한사랑의 실천이라는 의미를 획득했다.


Most previous studies on the blood business in Korea date the beginning of full-scale blood transfusions to the Korean War. However, it seems that "scientific" blood transfusion therapy had already been introduced to Colonial Korea by Shinichi Kirihara(桐原眞一). The problem that doctors faced in practicing blood transfusions at that time was that it was difficult to collect the blood needed for blood transfusions. The blood needed for blood transfusions had to be obtained through the blood trade. The blood trade was institutionalized through the organization of Blood Donors Association. Despite the trade of blood, Gyeongseong Blood Donors Association emphasized that selling blood is a noble act. The possibility of blood donation began with the war. After the Second Sino-Japanese War outbreak, blood donation campaigns for the Imperial Japanese Army were organized in various places. As the threat of air raids increased, blood became an important national resource even outside the battlefield. Blood donation became a noble act of love through the war and the 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