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부산은 일본 제국주의와 부산 거주 일본인들에 의해 근대 식민도시의 일환으로 계획되어 형성되었고 해방 이후 열전과 냉전체제에서 정치적 귀환 동포와 피난민들을 수용하는 한편, 전후에는 사회적 난민, 이주민 등이 수용되고 위계화된 관문 도시였다. 그리고 그 경계 공간에서 가장 활발하게 복무하는 ‘식민/냉전국가-가부장-자본주의 권력’의 위계 아래 또는 권력의 폭력에 순응하기도 하고 저항하기도 하는 한편, 가시화되기도 하고 비가시화되기도 하는 다양한 서발턴이 존재할 수밖에 없었다. 지금까지는 근대 권력과 주체의 이분법적인 대응 관계 속에서 순응하든 저항하든 주체화 과정을 거쳐 가시적으로 드러난 주체들에 한해 제한적인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근대 권력은 식민/냉전-가부장-자본 권력이라는 보로메오의 매듭으로 연결되어 상호 보완하며 다양한 차원에서 중층적인 주체, 객체, 비체, 즉 서발턴을 양산한다. 그런데 이들 서발턴은 권력에 의해 또는 권력과 함께 주체화하기 때문에 권력과 주체의 관점에서 재현될 뿐이다. 그 권력적 재현을 하나의 권력관계로 보지 말고 중층적인 차원에서 권력관계를 확인하는 한편, ‘말하지 않는/못하는’ 서발턴의 역사적 재현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그런 의미에서 ‘장소’로서 부산과 ‘행위자’로서 서발턴 역사 연구는 로컬 차원의 지역과 민의 연구는 물론 리저널 차원의 지역과 민의 연구에 소중한 자양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Busan was planned and formed as a modern colonial city by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Japanese iving in Busan. After liberation, it accommodated politically repatriated compatriots and refugees during the hot and cold wars, while social refugees and immigrants were accommodated and hierarchized after the war. It was a gateway city. And in that border space, under the hierarchy of ‘colonial/cold war state-patriarchal-capitalist power’ or the violence of power, there are bound to be various subalterns who are visible and invisible, while at the same time complying with and resisting the violence of power. There wasn't. Until now, limite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ly on subjects who have gone through a process of subjectivation, either compliant or resistant, in the dichotomous correspondence between modern power and subjectivity. However, as mentioned earlier, modern power is connected by the Borromeo belt of colonial/cold war-patriarchal-capital power, complementing each other, and producing multi-layered subjects, objects, and non-bodies, or subalterns, at various levels. However, because these subalterns are subjectified by or together with power, they are only reproduced from the perspective of power and subject. Instead of viewing the power representation as a single power relationship,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power relationship at a multi-layered level, while striving for the historical representation of the subaltern who ‘does not/cannot speak.’ In that sense, research on the history of Busan and the subaltern can be valuable nourishment for research on the region and people at the local level as well as the region and people at the regional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