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해 문법 항목의 교육 내용으로 제시되는 ‘사용’ 정보에 대해 논의하였다. 먼저 문법 항목 교수를 위해 학습자에게 제공해야 하는 ‘사용’ 정보를 정리하였다. 사용 정보는 한국어 의사소통 상황에서 문법 항목을 언제,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정보이다. 사용 정보는 문장 구성과 유사 문법 항목 등에 대한 정보 외에도, 해당 문법 항목이 사용되는 의사소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폭넓게 포함하며, 문법 항목의 의미를 실현하는 의사소통 상황과 문장 맥락, 기타 정보로 구성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사용 정보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중급 문법 항목인 ‘-게 하다’를 대상으로 하여 사전과 교재에서 해당 문법 항목의 사용 정보를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사전과 교재에서 문법 항목의 사용 정보를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를 살피고, 사용 정보의 제시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기존의 사전이나 교재에서 상대적으로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 의사소통 상황 정보의 제시 방향에 대해 주로 논의하였는데, 사용 정보를 명시적인 설명으로 제시하되 사용 예시를 통해 학습자의 이해를 높이도록 해야 한다고 보았다.


In this research, we discussed the ‘use’ information provided for the instruction of grammar items in Korean grammar education. First, we organized the ‘use’ information that needs to be provided to learners for teaching grammar items. Usage information refers to how and when to use grammar items in Korean communication situations. It includes information not only about sentence structure and similar grammar items but also a broad range of information about the communication situations in which the grammar item is used, as well as the realization of the meaning of the grammar item in communication contexts and sentence contexts, among other details. Based on discussions about this usage information, we analyzed how the usage information for the intermediate grammar item ‘-ge hada’ is presented in dictionaries and textbooks. Through this analysis, we examined how dictionaries and textbooks present the use information of grammar items and discussed the direction in which this information is provided. We mainly discussed the direction of presenting communication situation information, which seems to have received relatively less attention in existing dictionaries and textbooks. We concluded that the usage information should be explicitly explained while using examples to enhance learners' understan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