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1960년대 중반부터 2008년 무렵에 이르는 기간에 걸쳐 제출된 박태순의 기행문학, 특히 나의 국토 나의 산하 전 3권을 중심으로 이들 기행문에서 드러난 작가의 대안적 국토 의식과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특히 박태순이 기존의 개발 중심 국토관과 비판적 거리를 두고 대안적 국토 의식을 구상하는 과정에서 그동안 우리 역사 내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민중)여성의 삶과 여성적 흔적을 복원하고, 이를 주요하게 참고하고 있었음에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 박태순은 그의 기행문에서 국토 내 불교와 도교, 민속 신앙 등의 흔적을 답사하면서 고대로부터 전해져 온 우리 고유의 국토 의식을 추적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불국토 사상, 화랑도 전통, 민속 신앙 등이 우리 국토에 끼친 오랜 영향도 밝혀내고 있다. 또한 지리산과 제주도 등지의 기행을 통해 박태순이 기존 민중론과 로컬리티론의 문제점을 돌파하고자 우리 국토 내 여성적 흔적들에 주목하고 있음은 매우 상징적이라 하겠다. ‘에코페미니즘’과도 깊은 관련 있는 이같은 관점을 통해 한국 사회가 기존의 로컬리티론이 갖고 있는 개발 만능론, 도시 중심 국토 재편론 등의 여러 문제들을 타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가능성을 부여받고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통일 한국 시대와 새 시대의 발전을 예비하는 새로운 국토 비전도 제시하고 있어 주목된다.


This article aims to reveal the artist's alternative national territory consciousness and meaning revealed in these travel texts, focusing on Park Tae-soon's travel literature, especially the three volumes of 『나의 국토 나의 산하』 under the national territory.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conceiving an alternative national consciousness with a critical distance from the existing development-oriented national view, it is meaningful that Park Tae-soon restored the lives and feminine traces of (people) women that have not been noticed in our history. Park Tae-soon explores the traces of Buddhism, Taoism, and folk beliefs in the country, tracing our own national consciousness that has been handed down since ancient times. In this process, it is also revealing the long-standing impact of Buddhist national ideology, Hwarangdo tradition, and folk faith on our country. In addition, it is very symbolic that Park Tae-soon is paying attention to female traces in our country to break through the problems of existing folk theory and locality theory through travel in Jirisan Mountain and Jeju Island. This is because Korean society will be given an alternative possibility to overcome various problems such as development universal theory and urban reorganization theory that existing locality theory has through this perspective, which is deeply related to “ecofeminism.” Furthermore, it is noteworthy that it presents a new national land vision to prepare for the development of the unified Korean era and the new 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