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스포츠 영화 프랜차이즈인 <록키>와 이 시리즈의 리부트로 역시 큰 흥행 성공을 거두고 있는 <크리드> 시리즈를 비교한다. <록키>가 1970년대 흑인 민권 운동 이후 미국 백인 노동 계층 남성성의 위기를 다루고 있다면, <크리드>는 ‘록키 유니버스’를 이어 나가 돼 흑인 복서와 능동적 여성 인물을 내세워 시대에 걸맞은 인종과 젠더의 다변화를 이뤘다고 극찬받는다. 이 글은 바로 이 같은 진보주의적 평가가 간과하는 <록키>의 성취와 <크리드>의 한계를 분석한다. 본문의 첫 번째 부분에서는 배경 이론을 소개하기 위해 스포츠 연구, (스포츠) 영화연구, 남성성 연구를 특히 이데올로기와 관련지어 살펴본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록키> 시리즈가 ‘이데올로기 장치’로서 스포츠와 백인 하류층 남성성의 단면적 재현이 아닌, 스포츠와 젠더에 관한 이데올로기적 현실과 유토피아적 열망이 충돌하는 부정적 변증법의 장임을 스포츠 철학 담론과 포스트 남성성 이론을 통해 밝혀보겠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크리드>의 주인공 아도니스가 체화하는 남성성의 위기를 1990년대 말 백인 여피 남성의 거세불안을 드러낸 <파이트 클럽>의 흑인 버전으로 분석한다. 이어 스펙터클로서의 아도니스가 남성의 단련된 몸 역시 성애화된 자본으로 전유하는 신자유주의 시대 ‘스포르노섹슈얼’에 속함을 주장하겠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Rocky films, the most successful sport film franchise in the world, and the Creed films, the equally successful reboot of the Rocky universe first released in 2015. While prior criticism focuses on the Rocky films’ dated narrative of white working-class masculinity in favor of the updated racial and gender diversity of the Creed films, my article highlights the former’ enduring achievements, as well as the latter’s process of “remasculinization” despite the surface inclusiveness. The first section surveys the key issues of sport studies, (sport) film studies, and masculinity studies, in relation to the term “ideology.” The second section looks at the “negative dialectics” of ideology and utopia portrayed in the Rocky films, and reads the representation of masculinity in these films from the perspective of “post-masculinity.” Drawing upon the theme of “crisis of white masculinity” which has been ardently adopted by American literary and film texts since the 1950s, the last section argues that the Creed films create an extended Black version of this theme in a way similar to Fight Clu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