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핍진逼眞은 정약용의 회화론을 관통하는 핵심 개념이다. 진은 회화가 화면에 구현해야 할 것을 지칭하며, 일상 영역에서 감각적 지적으로 인식가능한 경험적 관념적 사실ㆍ의리를 포괄하지만, 일상적 인식 영역을 벗어난 신묘함이나 유희는 포괄하지 않았다. 회화론에서 진을 구성하는 형과 신은 그의 심성론에서 분명히 정의되는바 신이 늘 형과 결합해 형을 주재하며 형을 떠난 신은 인식의 영역에서 제외되는 것과 맥락을같이한다. 그리고 그는 재현 대상을 두루 정밀하게 표현한다는(逼眞) 재현 방법 외에 여타 조형미를 추구하는 재현 형식에 무관심했다. 조형미를 논외로 하는 재현 형식에 대한 태도는 그의 문예론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그의 회화론은 고금의 회화론이 전제로 삼는 형과 신의 괴리, 문인화의 품격과 그 화면적 특징, 기술과 다른 회화의 특징을 전혀 언급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그는 문예론ㆍ서예론과는 달리 회화론에서는 작가의 인품ㆍ학식과 작품의 상관성을 논의하지 않음으로써, 조선 후기핍진을 중시한 윤두서ㆍ강세황 등의 입장과도 다르다. 동양화론에서 일반적으로 자유ㆍ유희ㆍ높은 품격을 중시하는 이른바 예술의 속성, 이를전유한 문인화 이념을 채택하는 것과 달리 그는 경학과 문예론에서 그랬듯이 고전, 즉 기술과 다른 예술의 지위를 부여받기 이전의 회화관을소환하여 19세기 조선에서 새로운 이념으로서 작용하도록 의도했다고 이해할 만하다.


Jeong Yak-yong’s theory of painting is based on the concept of figure(形) and spirit(神). Unlike traditional painting theory, his writings claim that figure and spirit must always remain combined and not leave the realm of everyday life, and painting should aim to reveal facts and principles that can be sensually and intellectually perceived in everyday life. He mainly discusses the object of representation of painting, and suggests the technique of accurate and delicate depiction as the only method of reproduction in painting. As a result, artistic beauty, which is achieved through various reproduction methods that are not faithful to the form of the subject and the creative ability of the painter, which has been emphasized in traditional Chinese and Korean painting theory, is excluded from his theory of painting. Moreover, unlike his discussions on poetry or calligraphy, he did not discus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rtist’s character and scholarship and his work in relation to painting. The painting described by Jeong Yakyong is closer to technology than art, and this paper proposes to approach his theory of painting as a rare theory that presents painting as a technology in chosun dynas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