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고령운전자 운전제한에 대한 중장년층의 찬반 의견을 살펴보고, 생물심리사회모델(biopsychosocial model)에 근거한개인의 다양한 특성, 즉, 인구학적, 신체 및 심리적, 사회적 특성이 고령운전자 운전제한에 대한 찬반 의견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령에 따라 개인의 특성과 고령운전자 운전제한에 대한 찬반 의견 간의 관련이 다른지 알아보기 위해 연령의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2012년에 수집된 「한국 베이비부머 패널연구」와 「한국 예비노인 패널연구」에서 추출한중장년층(49-64세) 총 4,682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먼저 중장년층의 고령운전자 운전제한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비율을 살펴보고, 찬반 의견에 따라 응답자 개인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t 혹은 χ 2 검증을 통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고령운전자 운전제한에 대한 찬반 의견이 개인의 다양한 특성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알아보고, 각 특성의 관련성이 연령에 따라다른지 연령의 상호작용항을 검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분석의 연구대상 중 33%만이 고령운전자 운전제한에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연령이 낮을수록, 대도시에 거주하지 않는 경우, 참여하는 문화⋅예술 활동의 개수가 많을수록 고령운전자 운전제한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 수준, 대도시 거주 여부, 만성질환 유무, 주관적 건강, 사회활동 모임 가입 수는 연령과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운전자 운전제한에 대한 의견이응답자의 신체적 특성보다는 사회적 특성과 유의한 관련을 나타낸 본 연구의 결과는 고령운전자 운전제한에 대한 논의에서 개인의인구학적 특성 및 건강 특성뿐 아니라, 심리사회적 특성 또한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Korean middle-aged adults agreed with a driving restriction policy for older adults (i.e., limiting driving of drivers at a certain age or older), and how their endorsements were associated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i.e., demographic,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drawing on the biopsychosocial model on driving. We also examined how the associations varied by respondents’ age. This study analyzed a sample of 4,682 adults (aged 49-64) combined from the 2012 Korean Baby Boomer Panel Study and the 2012 Korean Forgotten Generation Study,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ly 33% of our respondents endorsed implementing a driving restriction for older adults. Second, results from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respondents were more likely to support driving restrictions for older adults―when they were younger, did not live in a metropolitan city, and participated in more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Third, we foun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age with education, residential areas, chronic diseases, subjective health, and social participation.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multi-dimensional (biopsychosocial) approaches to driving restriction policies for older adults.